전체 글 288

인수인계 (引受引繼) 뜻

인수인계 (引受引繼)引 끌 인, 受 받을 수, 引 끌 인, 繼 이을 계인수인계는 ‘업무나 권리 등을 넘겨주고 받아서 이어간다’는 뜻으로, 이전 담당자(인계자)가 후임자(인수자)에게 관련 내용을 체계적으로 전하고 책임을 이전하는 과정을 말합니다.의미 구분• 인계(引繼): 하던 일이나 물건 등을 넘겨주는 행위입니다.• 인수(引受): 업무나 물건 등을 받아 이어받는 행위입니다.일상에서는 두 과정을 함께 묶어 '인수인계'라고 하며, 이는 인계자가 먼저 내용을 정리해 주고, 인수자가 이를 받아들이는 순서로 진행됩니다.‘인수’와 ‘인계’라는 표현은 일본어의 ‘히키우케(引き受け)’와 ‘히키츠기(引き継ぎ)’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원래는 모두 ‘받는다’는 의미였으나, 한국어에서는 현재와 같이 주고받는 순서..

동상이몽 (同床異夢) 뜻

동상이몽 (同床異夢)同 같을 동, 床 자리 상, 異 다를 이, 夢 꿈 몽동상이몽은 ‘같은 잠자리에서 다른 꿈을 꾼다’는 뜻으로, 겉으로는 같은 처지에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속으로는 각자 다른 생각이나 목적을 품고 있음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이 사자성어는 중국 남송 시기의 학자 진량(陳亮)이 사용한 표현에서 유래했습니다. 그는 정치적 혼란 속에서 여러 세력이 연합하거나 배신하는 시대적 상황을 설명하며 “한 침상에 누워도 꿈은 다르다”는 말로 각자의 속셈과 목적이 다름을 비유했습니다.예문같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한 사람은 실적을, 다른 사람은 승진을 목표로 삼고 있다면 이는 동상이몽이다.연인이 결혼을 논의하지만, 한쪽은 현실적 안정을 원하고 다른 쪽은 로맨틱한 이상을 추구한다면 이 역시 동상이몽이라 할..

일자무식 (一字無識) 뜻

일자무식 (一字無識)一 한 일, 字 글자 자, 無 없을 무, 識 알 식일자무식은 '한 글자도 알지 못한다'는 뜻으로, 어떤 분야에 대해 전혀 알지 못하는 상태, 즉 극단적인 무지함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조선 시대에는 과거 응시 자격이 없는 백성들을 비하할 때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특히 '목불식정(目不識丁)'이라는 표현과 함께 자주 쓰이는데, 이는 "丁(정)"자도 모를 정도라는 의미로, 극단적인 문맹 상태를 풍자합니다.‘일자’는 '한 글자', '무식'은 '모른다'는 뜻이므로 문자 그대로 '글자를 하나도 모른다'는 의미에서 출발했지만, 현재는 특정 분야에 대한 완전한 무지를 표현할 때도 폭넓게 사용됩니다.뜻풀이어떤 지식이나 기술, 문화 등에 대해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나는..

견문발검 (見蚊拔劍) 뜻

견문발검 (見蚊拔劍)見 볼 견, 蚊 모기 문, 拔 뽑을 발, 劍 칼 검견문발검은 '모기를 보고 칼을 뽑는다'는 뜻으로, 사소한 일에 지나치게 과잉 대응하거나 큰 힘을 들여 낭비하는 상황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견문발검은 공자의 어록인 《논어》 중 '양화(陽貨)' 편에 나오는 표현에서 유래했습니다. 공자는 제자들에게 사소한 일에 과도하게 반응하는 것은 지혜롭지 못한 행동이라며, "모기 보고 칼 뽑는 격"이라는 식의 말을 통해 경계의 뜻을 전했습니다. 이로부터 견문발검은 쓸데없이 큰 행동을 취하는 어리석음을 비유하는 말로 사용되게 되었습니다.뜻풀이작은 문제를 해결하려고 과도한 힘이나 수단을 동원함으로써 오히려 비효율적이거나 부적절한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냉정한 판단력 없이 감정이나 체면에 휘둘..

귤화위지 (橘化爲枳) 뜻 유래

귤화위지 (橘化爲枳)橘 귤 귤, 化 변할 화, 爲 될 위, 枳 탱자 지귤화위지는 '귤이 탱자로 변한다'는 뜻으로, 같은 사물이나 사람이라도 환경에 따라 전혀 다른 성질로 바뀔 수 있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유래춘추시대 제나라의 명재상 안영(晏嬰)은 초나라에 사신으로 갔습니다. 초나라 왕은 안영에게 "제나라 사람은 도둑이 많다"며 조롱하듯 말했습니다. 그러자 안영은 "강남에서 자라는 귤은 맛있지만, 강북에 옮겨 심으면 탱자가 되어버립니다. 뿌리는 같지만, 땅이 달라진 것입니다. 제나라 사람도 초나라처럼 법도가 없고 교화가 부족한 곳에 오면 변할 수밖에 없습니다"라고 반박했습니다.뜻풀이같은 사람이더라도 어떤 환경, 제도, 문화 속에 놓이느냐에 따라 성격이나 행동이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즉, 인간의..

권선징악 (勸善懲惡) 뜻

권선징악 (勸善懲惡)勸 권할 권, 善 착할 선, 懲 벌할 징, 惡 악할 악권선징악은 '착한 일을 권장하고, 악한 일은 징계한다'는 뜻의 사자성어로, 도덕적 질서를 바로 세우고 정의를 실현하고자 하는 태도를 담고 있습니다.권선징악은 중국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의 '성공 14년' 편에 나오는 "懲惡而勸善(징악이권선)"이라는 문장에서 유래했습니다. 이 표현은 공자가 역사 서술의 기준으로 삼은 원칙 중 하나로, 악은 벌하고 선은 권장하여 사회 질서를 바로잡고자 한 고대 지혜를 보여줍니다.예문드라마나 소설에서 악인이 벌을 받고 선인이 보상받는 장면은 권선징악의 전형적인 예이다.교육에서는 권선징악의 원칙에 따라 모범생을 칭찬하고 잘못한 학생을 훈계하기도 한다.비슷한 사자성어인과응보(因果應報) - 원인과 결과에 ..

대동소이 (大同小異) 뜻

대동소이 (大同小異)大 클 대, 同 같을 동, 小 작을 소, 異 다를 이대동소이는 '거의 같고 조금만 다름'을 뜻하는 사자성어로, 전체적으로는 큰 차이가 없고 세부적인 부분만 약간 다른 상황을 묘사합니다.‘대동소이’는 중국 고전에서 비롯된 표현으로, 비슷한 상황이나 사물의 본질을 비교하며 "거의 같지만 작은 차이만 있다"는 의미를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사물이나 의견, 사람들의 주장 등이 얼핏 보면 다른 것 같지만, 실상은 거의 같다는 뜻입니다.예문두 스마트폰의 디자인은 대동소이해서 외관만 보고는 구분하기 어렵다.서로 다른 정당의 정책도 실제 내용을 보면 대동소이한 경우가 많다.비슷한 사자성어오십보백보 (五十步百步) — 본질적인 차이가 없음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천양지차 (天壤之差) — 대동소이의 반대 개념..

인과응보 (因果應報) 뜻

인과응보 (因果應報)因 인할 인, 果 과실 과, 應 응할 응, 報 갚을 보인과응보는 '원인과 결과에 따라 반드시 그에 상응하는 보응이 있음'을 뜻하는 사자성어로, 선한 일에는 좋은 결과가, 악한 일에는 나쁜 결과가 따른다는 인생의 이치를 담고 있습니다.불교의 ‘업(業)’ 사상에서 비롯된 말로, 모든 행위에는 그에 따르는 결과가 있다는 관점에서 생겨났습니다. ‘인’은 원인, ‘과’는 결과, ‘응’은 마땅히 받는 반응, ‘보’는 그에 대한 보답을 의미합니다. 결국 인간의 모든 행동은 언젠가 반드시 그에 걸맞은 결과를 불러온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예문그는 과거에 남을 속인 대가로 신뢰를 잃었으니, 인과응보라 할 수 있다.힘든 시기에도 남을 도와온 그가 결국 인정받은 것은 인과응보의 결과였다.비슷한 사자성어..

용의주도 (用意周到) 뜻

용의주도 (用意周到)用 쓸 용, 意 뜻 의, 周 두루 주, 到 이를 도용의주도는 '사전에 미리 준비를 철저히 하여 빈틈이 없음'을 뜻하는 사자성어로, 어떤 일을 할 때 매우 신중하고 치밀하게 계획하고 행동하는 태도를 나타냅니다.‘용의(用意)’는 ‘마음이나 뜻을 두어 준비하다’는 의미이고, ‘주도(周到)’는 ‘두루 미쳐 철저하다’는 뜻입니다. 이 두 단어가 합쳐져, ‘철저하게 준비를 다함’이라는 뜻으로 굳어졌습니다. 고대 병법서나 정치서에서도 전략적인 준비가 필요할 때 이 말이 자주 쓰였습니다.예문그는 모든 가능성을 고려하며 용의주도하게 계획을 세웠다.용의주도한 그녀는 예상치 못한 상황에도 흔들리지 않고 대응했다.비슷한 사자성어주도면밀 (周到綿密) : 세심하고 철저하게 계획함철두철미 (徹頭徹尾) : 처음부..

철두철미 (徹頭徹尾) 뜻

철두철미 (徹頭徹尾)徹 통할 철, 頭 머리 두, 徹 통할 철, 尾 꼬리 미철두철미는 '처음부터 끝까지 철저하고 빈틈이 없음'을 뜻하는 사자성어로, 일이나 태도에 있어서 일관되고 철저함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철두철미(徹頭徹尾)’는 머리에서부터 꼬리까지 모두 꿰뚫는다는 뜻에서 유래했으며, 처음부터 끝까지 변함없이 철저하다는 의미로 쓰입니다. 고대 문헌에서도 사람의 신념이나 행동이 흔들림 없이 완전할 때 이 표현을 사용했습니다.예문그는 철두철미한 계획으로 누구보다 준비가 철저했다.철두철미한 성격 덕분에 그녀는 늘 실수를 줄이고 완성도 높은 결과를 만들어낸다.비슷한 사자성어주도면밀 (周到綿密) : 사려 깊고 치밀하여 빈틈이 없음용의주도 (用意周到) : 세심하게 계획하고 준비함일관성 (一貫性) : 처음부터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