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88

파렴치한 (破廉恥漢) 뜻

파렴치한 (破廉恥漢)破 깨뜨릴 파, 廉 청렴할 렴, 恥 부끄러울 치, 漢 사내 한파렴치한은 '염치와 체면을 깨뜨린 사람'을 뜻하는 표현으로, 부끄러움을 모르고 뻔뻔스럽게 행동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나타냅니다.파렴치한은 한자어로, '염치(廉恥)'는 체면과 부끄러움을 아는 마음을 의미합니다. '파(破)'는 깨뜨리다, '한(漢)'은 사람을 뜻하므로, 파렴치한은 '염치를 깨뜨린 사람'이라는 뜻입니다. 이 표현은 도덕적 기준이나 사회적 규범을 무시하고 부끄러움 없이 행동하는 사람을 비난할 때 사용됩니다.예문"그는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고 오히려 큰소리를 치는 파렴치한이다.""공금을 유용한 파렴치한 공무원이 적발되었다.""그녀는 남의 물건을 훔치고도 아무렇지 않게 행동하는 파렴치한이다.""파렴치한 행동으로 인해..

외면사보살 내면여야차 (外面似菩薩, 內面如夜叉) 뜻 유래

외면사보살 내면여야차 (外面似菩薩, 內面如夜叉)外面 겉 외, 似 닮을 사, 菩薩 보살 보살, 內面 안 내, 如 같을 여, 夜叉 밤 야, 귀신 차외면사보살 내면야차는 '겉모습은 보살처럼 온화하지만, 속마음은 야차처럼 사납고 무섭다'는 뜻의 표현으로, 겉과 속이 다른 사람을 비유적으로 나타냅니다.유래와 활용이 표현은 송나라 시대의 문인 팽승(彭乘, 985~1049)이 지은 『묵객휘서(墨客揮犀)』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불교에서 보살은 자비롭고 온화한 존재를, 야차는 사납고 무서운 귀신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표현은 겉으로는 착하고 친절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악의적이거나 이기적인 사람을 경계할 때 사용됩니다.예문"그는 외면사보살 내면야차라서 겉으로는 친절하지만 속으로는 이기적인 생각을 하고 있다.""외면사보살 내..

노마지지 (老馬之智) 뜻 유래

노마지지 (老馬之智)老 늙을 노, 馬 말 마, 之 갈 지, 智 지혜 지노마지지는 '늙은 말의 지혜'라는 뜻으로, 겉보기에는 하찮아 보일지라도 오랜 경험에서 우러나오는 지혜가 있다는 것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주로 연륜 있는 사람의 판단이나 조언이 위기 상황에서 큰 도움이 될 때 사용됩니다.유래춘추시대 제나라 환공이 재상 관중과 대부 습붕을 데리고 고죽국을 정벌하고 돌아오는 길에 길을 잃었습니다. 관중은 “늙은 말의 지혜를 빌리자”며 늙은 말을 풀어 앞장서게 했고, 말은 본능적으로 길을 찾아냈습니다.또 물이 부족할 때 습붕은 개미집 아래를 파면 물이 있을 것이라 조언했고, 실제로 물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이 일화는 『한비자(韓非子)』 「설림상(說林上)」편에 전해집니다.예문1. 신입 사원들은 노마지지를 ..

도탄지고 (塗炭之苦) 뜻 유래

도탄지고 (塗炭之苦)塗 진흙 도, 炭 숯불 탄, 之 갈 지, 苦 괴로울 고도탄지고는 '진흙에 빠지고 숯불에 타는 듯한 고통'을 의미하는 사자성어로, 극심한 고난과 비참한 처지를 비유합니다. 특히 가혹한 정치나 학정으로 인해 백성들이 겪는 고통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유래도탄지고는 중국 고전 《서경(書經)》의 '중훼지고(仲虺之誥)'에서 유래합니다. 하(夏)나라의 걸왕이 폭정을 일삼자 백성들은 진흙에 빠지고 숯불에 타는 듯한 고통 속에 살아야 했습니다.이를 본 상나라의 탕왕이 걸왕을 무찌르고 왕조를 새롭게 세웠고, 당시 백성들의 고통을 '도탄'으로 표현하며 이 말이 유래되었습니다. 예문"오랜 내전과 경제 불황으로 인해 국민들은 도탄지고의 삶을 살아가고 있다.""조정의 부패가 극에 달하자 백성들의 삶은 도탄지..

개권유익 (開卷有益) 뜻 유래

개권유익 (開卷有益)開 열 개, 卷 책 권, 有 있을 유, 益 더할 익개권유익은 '책을 펼치면 유익함이 있다'는 뜻으로, 독서를 통해 지식이나 교훈을 얻을 수 있음을 강조하는 사자성어입니다.이는 독서의 중요성과 가치를 일깨우며, 학문을 장려하는 데 자주 사용됩니다.유래이 표현은 동진(東晉) 시대의 시인 도잠(陶潛), 즉 도연명(陶淵明)의 글에서 유래합니다. 그는 "소년 시절부터 책을 좋아하여, 책을 펼치면 얻는 것이 있어 기뻐서 식사도 잊었다"고 표현하며 독서의 기쁨을 전했습니다.이후 송나라의 왕필지(王闢之)가 저술한 『연수연담록(澠水燕談錄)』에서 송 태종(宋太宗)이 "개권유익"이라 말하며 독서의 중요성을 강조한 일화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기록을 통해 '개권유익'이라는 표현이 널리 알려지게 되었습..

공리공론 (空理空論) 뜻

공리공론 (空理空論)空 빌 공, 理 이치 리, 空 빌 공, 論 논할 논공리공론은 '실제적인 근거나 효과가 없이 겉으로만 그럴듯하게 꾸민 이치와 논의'를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이는 주로 현실과 동떨어진 이론이나 말뿐인 논의, 실효성 없는 계획을 비판할 때 사용됩니다. 이 표현은 실천 없이 말로만 떠드는 것을 지적하며, 말과 행동이 일치하지 않는 상황을 꼬집는 데 자주 쓰입니다.유래공리공론은 특정한 고사에서 유래된 표현은 아니지만, 동양 사상에서 공허한 이론이나 헛된 논의를 경계하는 맥락에서 자주 사용되었습니다. 이는 특히 유교나 도가에서 실질적 덕행과 실천을 강조할 때 이러한 태도를 비판하는 데 활용되었습니다.예문- 그는 매번 공리공론만 늘어놓고 실천은 전혀 하지 않았다.- 현실에서 벗어난 공리공론은 오..

구구절절 (句句節節) 뜻

구구절절 (句句節節)句 글귀 구, 句 글귀 구, 節 마디 절, 節 마디 절구구절절은 '말이나 글의 한 구절 한 구절마다 간절하고 절실하게 표현함'을 뜻하는 사자성어로, 특히 감정이 담긴 사연이나 입장을 조목조목 진지하게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한자 ‘句’와 ‘節’은 모두 문장의 단위를 의미하는데, 이를 반복하여 강조함으로써 각 구절마다 진심이 스며 있음을 드러냅니다. 원래는 글귀 하나하나에 정성이 담겨 있다는 뜻에서 유래하여, 점차 간곡하고 절절한 표현을 뜻하게 되었습니다.예문1. 그는 억울한 마음을 구구절절 털어놓았다.2. 유서에는 부모님께 대한 마음이 구구절절 담겨 있었다.3. 그녀의 편지는 구구절절 진심이 느껴졌다.마무리 이야기‘구구절절’은 감정을 세세하고 진심 어린 언어로 전하고자 할 때 유용한 표..

개관사정 (蓋棺事定) 뜻 유래

개관사정 (蓋棺事定)蓋 덮을 개, 棺 널 관, 事 일 사, 定 정할 정개관사정은 '관의 뚜껑을 덮고 나서야 일이 결정된다'는 뜻으로, 사람이 죽은 후에야 비로소 그 사람에 대한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진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이는 살아 있는 동안의 행적이나 평가는 불완전할 수 있으며, 인생의 전 과정을 마친 후에야 그 사람의 진정한 가치나 평판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유래이 표현은 중국 당나라 시인 두보(杜甫)의 시에서 유래하였습니다. 두보는 '君不見簡蘇?'라는 시에서 "백년을 산 나무는 죽은 후에야 거문고가 되고, 사람은 관 뚜껑을 덮고 나서야 그 사람에 대한 평가가 정해진다(百年死樹中琴瑟 丈夫蓋棺事始定)"라고 하였습니다.이는 사람의 진정한 평가는 생을 마감한 후에야 비로소 가..

우후죽순 (雨後竹筍) 뜻 유래

우후죽순 (雨後竹筍)雨 비 우, 後 뒤 후, 竹 대나무 죽, 筍 죽순 순우후죽순은 '비가 온 뒤에 여기저기 솟아나는 죽순처럼 어떤 일이 갑자기 많이 생겨남'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주로 갑작스럽게 우후죽순처럼 생겨나는 현상이나 사물, 특히 지나치게 많거나 질서 없이 늘어나는 상황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유래중국 고대의 문헌에서 유래한 이 표현은 실제로 봄철 비가 내린 뒤 대나무 숲에서 죽순이 하루에 수십 센티미터씩 빠르게 솟아오르는 자연 현상을 관찰하며 생긴 말입니다. 이후 이런 빠른 번식을 비유적으로 빌려, 어떤 현상이나 사물이 갑자기 다수 생겨나는 상황을 표현하게 되었습니다.예문1. 최근에 카페 프랜차이즈들이 우후죽순처럼 생겨나고 있다.2. 정부 정책 발표 이후 유사한 사업들이 우후죽순으로 등장했..

개성포공 (開誠布公) 뜻 유래

개성포공 (開誠布公)開 열 개, 誠 정성 성, 布 펼 포, 公 공정할 공개성포공은 '진심을 열어 공정하게 펼친다'는 뜻으로, 자신의 속마음을 솔직하게 드러내고 공정한 자세로 타인과 소통하는 태도를 의미합니다.유래이 사자성어는 진(晉)나라 시대의 사학자 진수(陳壽)가 『삼국지』 촉서 제갈량전의 평론에서 제갈량의 인품을 평가하며 사용한 표현에서 유래하였습니다. 진수는 제갈량을 "개성심, 포공도(開誠心, 布公道)"라 칭하며, 그의 진심과 공정함을 강조하였습니다. 이후 이 표현이 줄어들어 '개성포공'이라는 사자성어로 정착하였습니다.예문"그는 회의에서 자신의 생각을 숨김없이 밝히며 개성포공의 자세로 동료들과 소통하였다.""개성포공의 태도로 상대방을 대하면 신뢰를 얻기 쉽다."비슷한 사자성어공명정대(公明正大) 공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