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앙 2

공평무사 公平無私 뜻 유래 간단히

공평무사 (公平無私)公 공변될 공, 平 평평할 평, 無 없을 무, 私 사사로울 사공평무사는 '공평하여 사사로움이 없다'는 뜻으로, 사적인 감정이나 이익을 배제하고 공정하고 정당하게 처신하는 태도를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이 말은 예로부터 올바른 정치와 정의로운 사회를 이루기 위한 중요한 덕목으로 강조되었습니다.중국의 고대 문헌에서는 공평무사를 실천하는 사람이야말로 신뢰받을 수 있으며, 특히 관리나 지도자는 공평무사한 자세로 백성을 다스려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한 예로, 전국시대 진나라의 재상 상앙(商鞅)은 법을 제정할 때 신분이나 지위 고하를 막론하고 누구에게나 동일하게 적용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진나라는 강력한 국가로 성장할 수 있었으며, 법과 원칙을 중시하는 공평무사의 중요성을 보여주었습니다.이..

이목지신 移木之信 뜻 유래 간단히

이목지신 (移木之信)移 옮길 이, 木 나무 목, 之 갈 지, 信 믿을 신'나무를 옮기는 믿음'이라는 뜻으로, 남을 속이지 않고 약속을 반드시 지킨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사자성어입니다. 이는 사람들 사이의 신뢰와 약속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데 사용됩니다.상앙은 법치 국가를 세우기 위해 새 법령을 시행하려 했지만, 백성들이 정부의 말을 신뢰하지 않을 것을 염려했습니다. 이에 상앙은 도성 남문에 큰 나무를 세우고, 이를 북문으로 옮기는 사람에게 10금을 주겠다고 공표했습니다.처음에는 아무도 나서지 않았으나, 상금을 50금으로 올리자 한 사람이 나무를 옮겼습니다. 상앙은 약속대로 상금을 지급했고, 이를 통해 백성들은 정부가 약속을 지킨다는 믿음을 갖게 되었습니다. 그 후 상앙의 법령이 백성들 사이에서 신뢰를 얻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