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임보 2

구밀복검 口蜜腹劍 뜻 유래 간단히

구밀복검 (口蜜腹劍)口 입 구, 蜜 꿀 밀, 腹 배 복, 劍 칼 검구밀복검은 '입에는 꿀이 있지만 배 속에는 칼을 품고 있다'는 뜻으로, 겉으로는 부드럽고 친절한 말을 하지만 속으로는 해칠 마음을 품고 있는 사람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이임보는 당 현종 시대의 재상으로, 겉으로는 부드럽고 친절한 태도로 황제와 신하들에게 신뢰를 얻었으나, 실제로는 교묘한 계략을 꾸며 정적을 제거하는 데 능숙한 인물이었습니다. 그는 자신과 대립하는 자들을 모함하고 배척하면서도 항상 온화한 말투와 태도를 유지했습니다.이처럼 구밀복검은 겉과 속이 다른 사람의 이중적인 태도를 비판하며, 특히 말과 행동이 일치하지 않는 기만적인 사람을 경계하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감언이설 甘言利說 뜻 유래 간단히

감언이설 (甘言利說)甘 달 감, 言 말씀 언, 利 이로울 이, 說 말씀 설달콤한 말과 이로운 조건을 뜻하며, 상대를 속이거나 이용하기 위해 듣기 좋은 말을 내세워 유혹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흔히 사람의 비위를 맞추거나 아첨하며 얻고자 하는 바를 달성하려는 수단으로 사용되며, 겉으로는 그럴듯하지만 속에 숨은 의도가 있음을 경계하라는 뜻으로도 쓰입니다.이 성어는 당나라 현종 시기 간신 이임보(李林甫)의 행동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이임보는 학식과 충성심이 부족했지만, 교묘한 말로 현종의 마음을 사로잡아 다른 신하들이 전할 충언을 막고, 자신의 이익을 챙겼습니다. 이처럼 아첨과 꾀로 높은 지위에 오른 이임보의 사례는 감언이설이 왜 경계의 대상으로 여겨졌는지 잘 보여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