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비자 4

수주대토 守株待兎 뜻 유래 간단히

수주대토 (守株待兎)守 지킬 수, 株 그루터기 주, 待 기다릴 대, 兎 토끼 토수주대토는 '그루터기를 지키며 토끼를 기다린다'는 뜻으로, 낡은 방식이나 요행에만 의존하여 발전하지 못하는 어리석음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이 표현은 중국 『한비자(韓非子)』의 오두(五蠹) 편에서 유래했습니다.옛날 중국 송(宋)나라에 한 농부가 있었습니다. 어느 날, 들판에서 일하던 농부는 갑자기 한 마리의 토끼가 빠른 속도로 뛰어오더니 나무 그루터기에 부딪혀 즉사하는 것을 보았습니다.농부는 뜻밖의 횡재를 하고 기뻐하며, 다시 이런 일이 생길 것을 기대했습니다. 이후로는 밭일을 하지 않고 하루 종일 그루터기 옆에 앉아 또 다른 토끼가 부딪쳐 죽기를 기다렸습니다.그러나 다시는 그런 행운이 찾아오지 않았고, 결국 농부의 밭은 황..

약팽소선 若烹小鮮 뜻 유래 간단히

약팽소선 (若烹小鮮)若 같을 약, 烹 삶을 팽, 小 작을 소, 鮮 고기 선약팽소선은 '큰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작은 생선을 삶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세심하고 신중한 통치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사자성어입니다.이 표현은 노자의 『도덕경(道德經)』 60장에서 유래되었습니다.노자는 작은 생선을 요리할 때 자주 뒤집거나 휘젓지 않으면 살이 부서지지 않는 것처럼, 나라를 다스릴 때도 지나친 간섭이나 급격한 변화보다는 자연스럽고 조화로운 통치가 필요하다고 설파했습니다.이후 한비자는 『한비자(韓非子)』의 해로(解老) 편에서 이 구절을 인용하며, 지나치게 자주 법령을 바꾸면 백성들이 혼란에 빠질 수 있다고 해석했습니다. 따라서 약팽소선은 군주나 지도자가 정책과 법령을 운용할 때 신중히 접근해야 함을 가르칩니다.

귀매최이 鬼魅最易 뜻 유래 간단히

귀매최이 (鬼魅最易)鬼 귀신 귀, 魅 도깨비 매, 最 가장 최, 易 쉬울 이귀신과 도깨비를 그리는 것이 가장 쉽다는 뜻으로, 사람들이 실제로 본 적이 없는 것을 묘사하거나 꾸며내기 쉽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이 사자성어는 중국 고전 『한비자(韓非子)』의 한 일화에서 유래합니다.제나라의 한 왕이 그림을 좋아하여 많은 화가를 불러 그림을 그리게 했습니다.왕이 한 화가에게 물었습니다. "무엇을 그리는 것이 가장 어려운가?"화가는 대답했습니다. "사람들이 자주 보는 개와 말 같은 것이 가장 어렵습니다."왕이 다시 물었습니다. "그러면 무엇을 그리는 것이 가장 쉬운가?"화가는 웃으며 답했습니다. "아무도 본 적이 없는 귀신과 도깨비입니다."화가는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개와 말은 사람들이 매일 보고 익숙한 존재..

거두절미 去頭截尾 뜻 유래 간단히

거두절미 (去頭截尾)去 갈 거, 頭 머리 두, 截 끊을 절, 尾 꼬리 미머리와 꼬리를 잘라낸다는 뜻으로, 불필요한 서두와 결말을 생략하고 핵심 내용만을 간결하게 전달하는 것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중국 진나라의 시황제와 재상 이사 사이의 일화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시황제는 한비자의 법치 사상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를 설명하려던 이사가 지나치게 장황하게 설명하자, 시황제는 중간에 말을 끊고 이렇게 말했습니다. "거두절미하고 본론만 말하라." 이는 곧, 필요 없는 부분은 생략하고 핵심만 간결하게 전달하라는 뜻이었습니다. 이후 이 표현은 핵심적인 내용을 강조할 때 쓰이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