괄목상대 (刮目相對)刮 비빌 괄, 目 눈 목, 相 서로 상, 對 마주할 대괄목상대는 ‘눈을 비비고 다시 마주 본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의 학식이나 실력이 놀랄 정도로 향상되어 새롭게 보게 됨을 이르는 사자성어입니다.유래중국 삼국시대 오나라의 명장 여몽은 무예에는 뛰어났지만 학문에는 부족한 사람이었습니다. 오나라의 군주 손권은 여몽에게 학문을 배울 것을 권했고, 여몽은 그 조언을 받아들여 열심히 공부한 끝에 학식까지 갖춘 장군으로 거듭났습니다.이후 여몽과 절친한 사이였던 노숙이 그를 다시 만났을 때, 전과는 비교도 되지 않을 정도로 성장한 모습에 놀라게 됩니다. 이에 여몽은 “선비는 사흘만 안 봐도 눈을 비비고 새롭게 바라보아야 한다(士別三日刮目相待)”고 말했고, 여기서 ‘괄목상대’라는 말이 유래되었습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