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나라 2

흥진비래 興盡悲來 뜻 유래 간단히

흥진비래 (興盡悲來)興 일어날 흥, 盡 다할 진, 悲 슬플 비, 來 올 래흥진비래는 '즐거움이 다하면 슬픔이 온다'는 뜻으로, 인생의 기쁨과 슬픔이 순환하며 반복됨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이 표현은 당나라 초기 시인 왕발(王勃)의 『등왕각서(滕王閣序)』에서 유래했습니다. 왕발은 이 작품에서 인생의 무상함과 변화를 표현하며, 즐거움이 지나면 슬픔이 온다는 의미를 담았습니다.즉, 세상의 흥망성쇠와 인간사의 변천을 나타내며, 좋은 일이 있으면 반드시 나쁜 일도 있을 수 있음을 경고하는 뜻으로 사용됩니다.이는 지나친 기쁨에 도취되지 말고, 늘 조심스럽고 겸손한 자세를 가져야 한다는 교훈을 줍니다.또한, '고진감래(苦盡甘來)'와 반대되는 의미로, 즐거움이 지나가면 슬픔이 올 수 있음을 상기시켜 주는 말이기도 합..

건곤일척 乾坤一擲 뜻 유래 간단히

건곤일척 (乾坤一擲)乾 하늘 건, 坤 땅 곤, 一 한 일, 擲 던질 척건곤일척은 '하늘과 땅을 걸고 한 번 주사위를 던진다'는 뜻으로, 운명과 흥망을 걸고 단판 승부를 겨룬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이 표현은 중국 당나라의 문장가 한유(韓愈)의 시 「과홍구(過鴻溝)」에서 유래합니다.한유는 초나라 항우와 한나라 유방이 천하를 두고 싸운 '홍구(鴻溝)'를 지나다가 다음과 같은 시를 남겼습니다."용은 지치고 호랑이도 피곤하여 강과 들을 나누어 가지니(龍疲虎困割川原)이로 인해 억만 창생의 목숨이 살아남게 되었네(億萬蒼生性命存)누가 임금에게 권하여 말머리를 돌리게 했는가(誰勸君王回馬首)참으로 한 번 겨룸에 천하를 걸었구나(眞成一擲賭乾坤)"여기에서 '참으로 한 번 겨룸에 천하를 걸었구나(眞成一擲賭乾坤)'라는 구절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