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88

천재지변 (天災地變) 뜻

천재지변 (天災地變)天 하늘 천, 災 재앙 재, 地 땅 지, 變 변할 변천재지변은 '자연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재난과 재해'를 의미하며, 인간의 힘으로는 예측하거나 통제하기 어려운 자연적 재앙을 가리킵니다. 지진, 태풍, 홍수, 산사태, 화산 폭발 등이 그 예에 해당합니다.천재지변은 자연의 거대한 힘에 의해 발생하는 현상으로, 그 규모와 피해가 매우 크며, 예측하기 어렵고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인간의 기술이나 노력으로는 완벽히 막기 힘든 특성을 지니며, 때로는 지역 전체를 파괴하는 심각한 피해를 초래합니다.천재지변에 대한 대비와 대응천재지변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준비가 필요합니다:재난 대비 훈련과 교육비상용품(식수, 식량, 응급 처치 키트) 준비재난 발생 시 행..

조강지처 (糟糠之妻) 뜻 유래

조강지처 (糟糠之妻)糟 지게미 조, 糠 겨 강, 之 갈 지, 妻 아내 처조강지처는 '지게미와 쌀겨로 끼니를 이을 때의 아내'라는 뜻으로, 몹시 가난하고 천할 때에 고생을 함께 겪어 온 아내를 이르는 말입니다.유래조강지처의 유래는 중국 후한의 광무제(光武帝)와 신하 송홍(宋弘)의 일화에서 비롯됩니다. 광무제의 누이 호양공주는 미망인이었고, 송홍에게 마음이 있었습니다. 이를 안 광무제는 송홍에게 "사람이 귀해지면 친구를 바꾸고, 부자가 되면 아내를 바꾼다는데 공은 어찌 생각하는가?"라고 물었습니다. 이에 송홍은 "가난하고 천할 때의 친구는 잊을 수 없고, 지게미와 쌀겨를 먹으며 고생한 아내는 내칠 수 없습니다."라고 대답하였습니다. 이 일화에서 '조강지처'라는 말이 유래되었습니다.예문그는 성공한 후에도 조강..

요지부동 (搖之不動) 뜻

요지부동 (搖之不動)搖 흔들 요, 之 갈 지, 不 아닐 부, 動 움직일 동요지부동은 '아무리 흔들어도 전혀 움직이지 않는다'는 뜻으로, 자신의 입장이나 태도를 굳게 지키며 조금도 흔들리지 않는 상태를 가리킵니다. 주로 완고하거나 고집스러운 사람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요지부동은 외부의 압력이나 설득에도 쉽게 움직이지 않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이는 흔들림 없는 신념이나 확고한 결심을 나타낼 때 긍정적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때로는 융통성 없는 완고함을 의미하기도 합니다.요지부동의 예시- "그는 누구의 말에도 요지부동으로 자신의 의견을 굽히지 않았다."- "어려운 상황에서도 그녀는 요지부동의 자세를 유지했다."- "아무리 설득해도 그는 요지부동이었다."요지부동과 비슷한 사자성어- 확고부동(確固不動): 확고하..

고정관념 (固定觀念) 뜻

고정관념 (固定觀念)固 굳을 고, 定 정할 정, 觀 볼 관, 念 생각 념고정관념은 '어떤 생각이나 관념이 굳어져서 쉽게 바뀌지 않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는 특정 대상이나 집단에 대해 일반화된 이미지나 신념으로, 종종 현실과 다르거나 부정확할 수 있습니다.고정관념은 개인이나 집단이 특정 대상에 대해 오랜 시간에 걸쳐 형성한 고정된 생각이나 믿음을 뜻합니다. 이는 사회적, 문화적 영향 속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으며, 편견이나 선입견으로 작용하기도 합니다.고정관념의 예시- "남성은 이성적이고 여성은 감성적이다."- "노인은 신기술에 약하다."- "어린이는 철이 없다."이러한 예시는 특정 집단에 대한 일반화된 생각으로, 개인의 실제 특성이나 능력과는 무관하게 판단하는 경향이 있습니다.고정관념이 주는 영..

묵묵부답 (默默不答) 뜻

묵묵부답 (默默不答)默 잠잠할 묵, 默 잠잠할 묵, 不 아닐 부, 答 대답할 답묵묵부답은 '입을 다문 채 아무 대답도 하지 않음'을 뜻하는 사자성어로, 질문이나 요구에 아무런 반응 없이 침묵으로 일관하는 태도를 묘사합니다.‘묵묵(默默)’은 ‘조용히 말이 없음’을, ‘부답(不答)’은 ‘대답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고대 중국 문헌에서는 군자가 신중할 때 말을 아끼며 침묵을 지키는 모습을 미덕으로 삼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현대에 들어서는 회피나 무성의의 의미로도 자주 사용되며, 문맥에 따라 긍정과 부정의 뜻을 동시에 가질 수 있는 표현입니다.예문1. 모두가 기다리는 질문에 그는 끝내 묵묵부답으로 일관했다.2. 그녀는 화가 나도 묵묵부답인 편이라, 감정을 알기 어렵다.3. 중요한 발표 이후, 학생들의 반응은 ..

구태의연 (舊態依然) 뜻

구태의연 (舊態依然)舊 예 구, 態 모습 태, 依 의지할 의, 然 그러할 연구태의연은 '옛 모습 그대로 변하여 새로워지지 않음'이라는 뜻으로, 시대에 맞지 않게 낡은 관행이나 방식, 사고방식을 고수하는 태도를 비판할 때 사용하는 사자성어입니다.구태의연은 고전 문헌과 사상에서 자주 등장하는 개념으로, 변화와 혁신이 필요한 시점에서도 과거의 방식에만 의존하는 것을 비판하는 의미에서 사용되어 왔습니다. ‘옛 모습(舊態)’에 ‘그대로 따름(依然)’이 결합되어, 그대로인 상태를 꼬집는 표현이 되었습니다.예문1. 그 기업은 구태의연한 업무 방식 때문에 경쟁력에서 뒤처지고 있다.2. 정치권의 구태의연한 행태는 국민의 신뢰를 잃게 만든다.3. 구태의연하게 과거만 답습해선 새로운 변화를 만들어 낼 수 없다.비슷한 사자성..

감지덕지 (感之德之) 뜻

감지덕지 (感之德之)感 느낄 감, 之 갈 지, 德 덕 덕, 之 갈 지감지덕지는 '분에 넘치는 듯싶어 매우 고맙게 여기는 모양'이라는 뜻의 사자성어로, 누군가의 작은 호의나 배려에도 진심으로 감사함을 느끼는 태도를 나타냅니다.감지덕지는 정확한 고사 유래가 전해지지는 않지만, ‘감’은 느끼고 마음에 새긴다는 뜻이며, ‘덕’은 은혜나 인격적 베풂을 의미합니다. 여기에 고전 한문에서 자주 쓰이는 연결어 ‘之’가 더해져 ‘은혜를 느끼고 감사하게 여긴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유교적 전통이 강한 문화에서 겸손과 감사의 미덕을 강조하기 위해 널리 쓰였습니다.예문1. 예상치 못한 도움을 받아 정말 감지덕지했습니다.2. 추운 날 따뜻한 차 한 잔 건네받고 감지덕지하는 마음이 들었다.3. 작은 친절에도 감지덕지할 줄 ..

낙화유수 (落花流水) 뜻

낙화유수 (落花流水)落 떨어질 낙, 花 꽃 화, 流 흐를 유, 水 물 수낙화유수는 '떨어지는 꽃과 흐르는 물'이라는 뜻으로, 주로 봄이 지나가며 꽃이 지고 물이 흐르는 풍경처럼, 남녀 간의 애틋한 감정을 비유하거나 세력이나 기운이 쇠퇴해가는 상황을 표현할 때 사용되는 사자성어입니다.낙화유수는 당나라 시인 고변(高邊)의 시 『방은자불우(訪隱者不遇)』에서 유래합니다. 시구 중 “낙화유수인천대(落花流水認天台)”라는 표현이 있으며, 이는 떨어지는 꽃과 흐르는 물을 통해 자연과 인생의 무상함을 깨닫는 장면을 묘사합니다. 시간이 흐르며 더 널리 쓰이게 되었고, 감정과 상황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사자성어로 자리 잡았습니다.예문1. 두 사람은 서로 그리워했지만 끝내 이어지지 못한 낙화유수 같은 사랑이었다.2. 봄비에 ..

금시초문 (今時初聞) 뜻

금시초문 (今時初聞)今 이제 금, 時 때 시, 初 처음 초, 聞 들을 문금시초문은 '지금 처음으로 듣는다'는 뜻의 사자성어로, 지금까지 전혀 몰랐던 사실을 이제야 비로소 듣게 되었을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예상치 못한 정보나 뉴스에 놀라움을 나타낼 때 자주 사용됩니다.금시초문은 고전 문헌보다는 일상 한자어 조합에서 비롯된 표현입니다. '금시(今時)'는 지금 이 순간을, '초문(初聞)'은 처음 들음을 뜻해, 직역하면 ‘이제야 처음 듣는다’는 의미를 가지며, 주로 당혹감이나 놀라움을 표현할 때 쓰입니다.예문1. 그 사람이 회사를 그만뒀다니, 금시초문이네!2. 이런 규칙이 있었다는 건 금시초문입니다. 어디에 나와 있었죠?비슷한 사자성어청천벽력 (靑天霹靂) - 맑은 하늘에 벼락이 친다는 뜻으로, 전혀 예상치 ..

권모술수 (權謀術數) 뜻

권모술수 (權謀術數)權 권세 권, 謀 꾀 모, 術 꾀 술, 數 셈 수권모술수는 '상대를 이기기 위해 권세와 꾀, 술책과 계략 등을 써서 교묘하게 일을 꾸미는 것'을 뜻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주로 부정적인 뉘앙스를 지니며, 정직하지 않은 수단을 통해 목적을 달성하려는 태도를 비판적으로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권모술수는 고대 중국의 정치와 병법에서 유래된 개념으로, 『한서(漢書)』나 『사기(史記)』 등 역사서에서 군주나 권력자의 전략적 계책을 표현할 때 자주 등장합니다. 권(權)은 힘과 영향력을, 모(謀)는 책략을, 술(術)은 기술적 기법을, 수(數)는 치밀한 계산을 의미합니다.예문1. 그는 권모술수를 써서 경쟁자를 제거하고 끝내 회장의 자리에 올랐다.2. 권모술수로는 일시적인 성공은 가능할지 몰라도, 결국 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