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88

읍참마속 (泣斬馬謖) 뜻 유래

읍참마속 (泣斬馬謖)泣 울 읍, 斬 벨 참, 馬 말 마, 謖 일어날 속읍참마속은 '울면서 마속의 목을 벤다'는 뜻으로, 사사로운 정을 버리고 공정한 법 집행을 실현하는 것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이는 중국 삼국시대 촉나라의 제갈량이 명령을 어긴 부하 마속을 눈물을 흘리며 참형에 처한 고사에서 유래되었습니다.유래와 의미삼국지의 고사에서, 촉나라의 제갈량은 북벌을 준비하며 중요한 요충지인 가정(街亭)을 지키는 임무를 마속에게 맡겼습니다. 그러나 마속은 제갈량의 엄중한 지시를 어기고 불리한 지형에 진을 치는 바람에 대패하고 말았습니다. 이에 제갈량은 군율을 지키기 위해 마속을 참형에 처하며 눈물을 흘렸습니다. 이 사건이 바로 '읍참마속'의 유래입니다. 이는 공적인 원칙을 지키기 위해 개인적인 감정을 억누르..

고희 (古稀) 뜻

고희 (古稀)古 옛 고, 稀 드물 희고희는 '예로부터 드물다'는 뜻으로, 70세를 일컫는 사자성어입니다. 이는 중국 당나라 시인 두보(杜甫)의 시 '곡강시(曲江詩)'에서 유래한 표현으로, "인생칠십고래희(人生七十古來稀)"라는 구절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이는 '인생에서 70세까지 사는 것은 예로부터 드문 일'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유래와 의미고희는 두보의 시에서 유래된 표현으로, 당시 평균 수명이 짧았던 시대적 배경을 반영하여 70세를 넘기는 것이 큰 축복으로 여겨졌습니다. 현대의 의학 발전과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수명이 연장되었지만, 여전히 고희는 특별한 의미를 가지며, 자손들이 부모의 장수를 기념하는 중요한 행사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예문1. 할아버지께서 고희를 맞이하셔서 온 가족이 함께 축하하는 ..

다사다난 (多事多難) 뜻

다사다난 (多事多難)多 많을 다, 事 일 사, 多 많을 다, 難 어려울 난다사다난은 '여러 가지 일도 많고 어려움이나 탈도 많음'을 뜻하는 사자성어로, 복잡하고 어려운 상황이 겹쳐지는 시기나 사건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다사다난은 특정한 고사에서 유래된 것은 아니지만, 한 해를 마무리하며 그동안의 복잡하고 어려웠던 일들을 회고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변화가 겹친 해를 표현할 때 '다사다난한 한 해'라는 말을 흔히 사용합니다.예문"다사다난했던 2023년을 보내고 새로운 마음으로 2024년을 시작한다.""다사다난했던 지난해가 있었기에 좋은 기회를 얻을 수 있었다.""다사다난한 내 친구에게 얼른 밝은 미소가 찾아왔으면 좋겠다."비슷한 사자성어우여곡절 (迂餘曲折): 뒤얽혀 ..

경천동지 (驚天動地) 뜻

경천동지 (驚天動地)驚 놀랄 경, 天 하늘 천, 動 움직일 동, 地 땅 지경천동지는 '하늘을 놀라게 하고 땅을 움직이게 한다'는 뜻으로, 세상을 깜짝 놀라게 할 만큼 큰 사건이나 변화, 충격적인 일을 묘사하는 사자성어입니다.이 표현은 하늘과 땅이 뒤흔들릴 정도로 놀라운 상황을 가리키며, 고대 중국의 역사서와 시가에서 주로 사용되었습니다. 하늘과 땅처럼 거대한 존재가 움직일 정도의 충격을 의미하는 만큼, 인간의 힘으로는 통제하기 어려운 엄청난 사건을 묘사하는 데 자주 쓰입니다.예문1. 그 과학자의 발견은 경천동지할 만큼 중요한 성과였다.2. 역사의 흐름을 바꾼 혁명은 경천동지의 사건으로 기록되었다.3. 그의 고백은 모두를 경천동지하게 만들었다.비슷한 사자성어천지개벽 (天地開闢): 하늘과 땅이 처음 열린다는..

경화수월 (鏡花水月) 뜻

경화수월 (鏡花水月)鏡 거울 경, 花 꽃 화, 水 물 수, 月 달 월경화수월은 '거울에 비친 꽃과 물에 비친 달'이라는 뜻으로, 눈으로 볼 수는 있으나 손으로 잡을 수 없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또한, 시문에서 느껴지기는 하나 표현할 수 없는 미묘한 정취를 나타내기도 합니다.경화수월은 특정한 고사에서 비롯된 표현은 아니지만, 전통적으로 시와 문학에서 자주 사용된 표현입니다. 이는 형체는 있지만 실체가 없는 아름다움을 묘사하기 위해 고대 문인들이 자주 사용하던 비유입니다. 이러한 표현은 중국의 고전 문학에서도 자주 등장하며, 시와 문장에서 나타나는 은은하고도 애매한 정취를 나타냅니다.예문그들의 사랑은 경화수월 같았다. 아름답지만 손에 닿을 수 없는 것이었다.그 시인의 글은 경화수월한 정취를 담..

구상유취 (口尙乳臭) 뜻 유래

구상유취 (口尙乳臭)口 입 구, 尙 오히려 상, 乳 젖 유, 臭 냄새 취구상유취는 '입에서 아직 젖내가 난다'는 뜻으로, 말이나 행동이 매우 유치하고 미숙함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주로 경험이 부족하거나 철없는 사람을 얕잡아 볼 때 사용됩니다.유래이 표현은 『사기(史記)』에 등장합니다. 한나라의 유방(劉邦)이 초나라의 항우(項羽)와 천하를 다투던 시기, 위나라 왕 표(豹)가 항우 편에 붙자 유방은 한신(韓信)을 보내 이를 제압하려 했습니다.유방은 위나라 군대의 대장이 백직(栢直)이라는 말을 듣고 "그런 자는 구상유취(口尙乳臭)야"라며 비웃었습니다. 결국 한신은 위나라 군을 쉽게 물리치고 표를 사로잡았습니다.예문1. 신입 사원의 발언이 너무 유치해서 팀원들이 구상유취하다고 수군거렸다.2. 그..

호언장담 (豪言壯談) 뜻

호언장담 (豪言壯談)豪 호걸 호, 言 말씀 언, 壯 씩씩할 장, 談 말씀 담호언장담은 '호기롭고 자신 있게 말함' 또는 '그런 말'을 뜻하는 사자성어로, 때로는 과장되거나 허풍 섞인 발언을 의미하기도 합니다.호언장담은 특정한 고사에서 비롯된 표현은 아니지만, 고대 문인들이 자신의 재능과 지식을 과시하기 위해 과장된 언행을 사용한 데서 유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표현은 고려 시대부터 문인들 사이에서 널리 사용되었습니다.예문그는 이번 프로젝트에서 반드시 성공하겠다고 호언장담했다.호언장담만 늘어놓던 그는 결국 약속을 지키지 못했다.그의 호언장담이 현실이 되어 모두를 놀라게 했다.마무리 이야기호언장담은 때로는 자신감의 표현이 될 수 있지만, 과도한 자신감은 신뢰를 잃을 수 있습니다. 말보다는 행동으..

걸식표모 (乞食漂母) 뜻 유래

걸식표모 (乞食漂母)乞 빌 걸, 食 먹을 식, 漂 뜰 표, 母 어머니 모걸식표모는 '거지처럼 떠돌며 밥을 구걸하던 사람에게 음식을 나누어 준 노파'를 의미하는 표현으로, 어려운 상황에서도 인간적인 따뜻함을 잃지 않고 도움을 베푸는 선한 마음을 나타냅니다. 이는 어려운 시절에 베푼 작은 은혜가 후일 큰 인연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일깨워주는 고사입니다.유래이 이야기는 중국 한나라의 명장 한신(韓信)과 관련이 있습니다. 한신은 젊은 시절 가난하여 밥을 구걸하며 떠돌이 생활을 했습니다. 어느 날, 그는 강가에서 빨래를 하던 노파에게 음식을 부탁했고, 노파는 그를 측은히 여겨 여러 차례 음식을 나누어 주었습니다. 후일 한신이 한나라의 대장이 되어 큰 권세를 얻었을 때, 이 노파를 찾아가 깊은 감사의 뜻을 전하고 ..

포락지형 (炮烙之刑) 뜻

포락지형 (炮烙之刑)炮 불사를 포, 烙 지질 락, 之 갈 지, 刑 형벌 형포락지형은 고대 중국 은나라의 폭군 주왕(紂王)이 시행한 극악무도한 형벌로, 기름칠한 구리 기둥을 숯불 위에 걸쳐 놓고 죄인을 그 위로 건너가게 하여 고통스럽게 죽게 하는 형벌을 의미합니다.포락지형의 역사적 배경포락지형은 주왕이 그의 애첩 달기(妲己)의 제안으로 시작된 형벌로 알려져 있습니다. 달기는 사람을 숯불 위에 올려놓는 형벌을 제안하며, 죄인을 불판 위에 올려도 쉽게 죽지 않으므로 나쁜 생각을 품은 자들도 무서워서 벌벌 떨 것이며, 감히 왕법을 어길 수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이러한 잔혹한 형벌은 주왕의 폭정과 함께 은나라의 멸망을 촉진시켰습니다. 결국 주나라의 무왕이 군사를 일으켜 은나라를 멸망시키고 새로운 왕조를 세웠..

절차탁마 (切磋琢磨) 뜻

절차탁마 (切磋琢磨)切 끊을 절, 磋 갈 차, 琢 쪼을 탁, 磨 갈 마절차탁마는 '옥이나 돌을 자르고, 갈고, 쪼고, 닦는다'는 뜻으로, 학문이나 덕행을 끊임없이 갈고 닦으며 완성도를 높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지속적인 자기계발과 수양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사자성어입니다.절차탁마는 개인의 역량이나 인격을 갈고 닦아 더 높은 수준으로 발전시키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는 단순한 기술의 연마뿐만 아니라, 도덕적, 인격적 성숙을 포함하는 폭넓은 수양의 개념입니다. 꾸준한 노력과 인내가 필수적이며, 이를 통해 궁극적인 완성에 이르게 됩니다.절차탁마의 유래이 사자성어는 중국의 고전 《예기》(禮記)에서 유래하였습니다. 이 책에서는 "군자는 배우기를 게을리하지 않으며, 절차탁마하여 덕을 닦는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