읍참마속 (泣斬馬謖)泣 울 읍, 斬 벨 참, 馬 말 마, 謖 일어날 속읍참마속은 '울면서 마속의 목을 벤다'는 뜻으로, 사사로운 정을 버리고 공정한 법 집행을 실현하는 것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이는 중국 삼국시대 촉나라의 제갈량이 명령을 어긴 부하 마속을 눈물을 흘리며 참형에 처한 고사에서 유래되었습니다.유래와 의미삼국지의 고사에서, 촉나라의 제갈량은 북벌을 준비하며 중요한 요충지인 가정(街亭)을 지키는 임무를 마속에게 맡겼습니다. 그러나 마속은 제갈량의 엄중한 지시를 어기고 불리한 지형에 진을 치는 바람에 대패하고 말았습니다. 이에 제갈량은 군율을 지키기 위해 마속을 참형에 처하며 눈물을 흘렸습니다. 이 사건이 바로 '읍참마속'의 유래입니다. 이는 공적인 원칙을 지키기 위해 개인적인 감정을 억누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