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88

지우학 志于學 뜻 유래 간단히

지우학 (志于學)志 뜻 지, 于 어조사 우, 學 배울 학학문에 뜻을 둔다는 의미로, 공자가 15세에 학문을 향한 열망을 품고 학습에 매진했던 것을 가리킵니다. 《논어》의 "십유오이지우학(十有五而志于學)" 구절에서 비롯되어, 15세를 학문에 뜻을 두는 시기로 보는 유래가 되었습니다.십유오이지우학은 공자가 《논어》의 위정편에서 "열다섯에 학문에 뜻을 두었다"고 한 말로, 청소년기의 배움과 인격 수양의 중요성을 강조한 구절입니다. 공자는 열다섯 살에 학문의 길을 시작하며, 스스로의 성장을 위한 학문에 정진했습니다. 이로 인해 15세는 지학(志學)이라 불리며, 사람의 학문적 기초가 다져지는 시기로 상징됩니다.

관포지교 管鮑之交 뜻 유래 간단히

관포지교 (管鮑之交)管 피리 관, 鮑 절인 고기 포, 之 어조사 지, 交 사귈 교관중(管仲)과 포숙아(鮑叔牙)의 우정을 기리는 말로, 친구 사이의 진실하고 깊은 우정을 의미합니다. 이 성어는 춘추시대 제나라에서 관중과 포숙아가 나눈 의리를 통해 전해져, 절친한 우정을 상징하는 고사성어로 자리 잡았습니다.관중과 포숙아는 어릴 때부터 가까운 친구였고, 함께 장사를 하며 신뢰와 이해를 쌓았습니다. 장사할 때 관중이 항상 자기 몫을 더 가져갔음에도 포숙아는 그를 비난하지 않았으며, 관중이 전쟁터에서 여러 번 도망친 일에도 그의 사정을 헤아려 비난하지 않았습니다. 포숙아는 관중이 노모를 돌보려는 마음을 이해하고 친구를 믿어주었습니다.제나라에서 왕위 다툼이 일어났을 때, 두 친구는 각각 다른 주군을 섬기게 됩니다...

감언이설 甘言利說 뜻 유래 간단히

감언이설 (甘言利說)甘 달 감, 言 말씀 언, 利 이로울 이, 說 말씀 설달콤한 말과 이로운 조건을 뜻하며, 상대를 속이거나 이용하기 위해 듣기 좋은 말을 내세워 유혹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흔히 사람의 비위를 맞추거나 아첨하며 얻고자 하는 바를 달성하려는 수단으로 사용되며, 겉으로는 그럴듯하지만 속에 숨은 의도가 있음을 경계하라는 뜻으로도 쓰입니다.이 성어는 당나라 현종 시기 간신 이임보(李林甫)의 행동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이임보는 학식과 충성심이 부족했지만, 교묘한 말로 현종의 마음을 사로잡아 다른 신하들이 전할 충언을 막고, 자신의 이익을 챙겼습니다. 이처럼 아첨과 꾀로 높은 지위에 오른 이임보의 사례는 감언이설이 왜 경계의 대상으로 여겨졌는지 잘 보여줍니다.

죽림칠현 竹林七賢 뜻 유래 간단히

죽림칠현 (竹林七賢)竹 대나무 죽, 林 수풀 림, 七 일곱 칠, 賢 어질 현죽림칠현은 대나무 숲 속의 일곱 현자라는 뜻으로, 중국 삼국 시대 말기에서 진나라 초기까지 대나무 숲에 모여 교유하던 일곱 명의 은둔자를 의미합니다. 이들은 혼란한 세상을 피해 무위자연의 삶을 추구하며 시와 음악을 즐겼습니다.주요 인물로는 혜강(嵇康), 완적(阮籍), 산도(山濤), 상수(向秀), 유령(劉伶), 완함(阮咸), 왕융(王戎)이 있습니다.당시 정치적 압박과 부패로 인해, 이들 일곱 명은 세속의 가치에서 벗어나고자 대나무 숲에 모여 철학적 담론을 나누고 술과 음악을 즐기며 자유로운 삶을 실천했습니다.특히 혜강과 완적은 노장 사상에 깊이 심취하여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삶을 꿈꿨고, 혜강은 사마씨 정권에 저항하다 처형당하기도 ..

거재두량 車載斗量 뜻 유래 간단히

거재두량 (車載斗量)車 수레 거, 載 실을 재, 斗 말 두, 量 헤아릴 량수레에 싣고 말로 잴 정도로 많다는 뜻으로, 인재나 물자가 매우 풍부하여 귀하게 여기지 않을 정도로 많음을 비유하는 표현입니다.이 고사성어는 중국 삼국지 시대, 오나라의 손권이 위나라와 동맹을 맺으려 할 때 생긴 일화에서 비롯되었습니다. 당시 오나라는 위나라의 강력한 군사력을 견제하기 위해 사신으로 조자를 보냈습니다.위나라 황제 조비가 "오나라에 그대 같은 인재가 얼마나 있는가?"라고 물었을 때, 조자는 기민하게도 "저와 같은 인재는 수레에 가득 싣고도 모자랄 만큼 많습니다."라고 답했지요. 이로써 오나라의 풍부한 인재와 자원을 강조하며 동맹에 성공하였다고 합니다.거재두량은 훌륭한 인재나 자원이 넘쳐날 때 흔히 쓰이는 표현으로, 풍..

각립대좌 角立對坐 뜻 유래 간단히

각립대좌 (角立對坐)角 뿔 각, 立 설 립, 對 대할 대, 坐 앉을 좌서로 지지 않으려 마주 앉아 대립한다는 뜻으로, 타협 없이 맞서는 상황을 묘사합니다. 주로 서로 양보하지 않으면서 팽팽히 대치하는 모습을 비유하는 데 사용됩니다.이 고사성어는 신당서(新唐書)에 전해진 이백(李白)과 그의 친척 영문(令問) 간의 대화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두 사람은 성격과 관점에서 서로 맞서는 일이 많아 결국에는 의견 충돌이 극에 달했는데, 이를 두고 각자 대립하며 굽히지 않고 서로를 견제하는 관계로 비유한 것입니다.이후 각립대좌는 주로 논쟁이 치열한 상황에서 사용되어 왔습니다.

거안제미 擧案齊眉 뜻 유래 간단히

거안제미 (擧案齊眉)擧 들 거, 案 밥상 안, 齊 가지런할 제, 眉 눈썹 미밥상을 눈썹 높이로 들어 공손히 남편 앞에 바친다는 뜻으로, 남편을 지극히 공경하고 존경하는 아내의 모습을 가리킵니다. 부부간의 상호 존중을 통해 가정을 화목하게 꾸리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거안제미의 유래는 중국 후한 시대의 학자 양홍과 그의 아내 맹광의 이야기에서 비롯되었습니다. 맹광은 양홍과 결혼 후 매번 밥상을 눈썹 높이까지 들어 올려 공손히 바치며 남편을 존경했습니다. 이들의 생활은 청빈했지만, 서로에 대한 깊은 존경과 사랑으로 가득했습니다. 이후 맹광의 이러한 행동이 "거안제미"라 불리며 부부간의 예절과 존중을 상징하게 되었습니다.이 고사는 부부간의 예의를 중시하는 전통적인 가치를 나타내며, 현대에서도 서로의 역할과 존..

가정맹어호 苛政猛於虎 뜻 유래 간단히

가정맹어호 (苛政猛於虎)苛 가혹할 가, 政 정사 정, 猛 사나울 맹, 於 어조사 어, 虎 범 호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더 무섭다는 뜻으로, 가혹한 정치가 백성들에게 끼치는 고통이 실제 위험한 짐승의 위협보다 더 심각하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는 억압적이고 폭력적인 통치가 얼마나 큰 사회적 해악이 되는지를 강조한 말입니다.춘추시대, 공자가 태산을 지나던 중 한 무덤 앞에서 통곡하는 여인을 발견했습니다. 제자인 자로를 보내 사연을 묻게 하니, 여인은 시아버지, 남편, 아들이 모두 호랑이에게 죽음을 당했다고 답했습니다. 공자가 “그렇다면 왜 이곳을 떠나지 않았느냐”고 묻자 여인은 “이곳에는 가혹한 정치가 없습니다”라고 대답했습니다.이 말을 들은 공자는 제자들에게 “기억하거라,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