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88

막역지우 莫逆之友 뜻 유래 간단히

막역지우 (莫逆之友)莫 없을 막, 逆 거스를 역, 之 갈 지, 友 벗 우막역지우는 '서로 거스르는 것이 없는 친구'라는 뜻으로, 허물없이 매우 친한 친구를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이 표현은 중국 『장자(莊子)』의 대종사(大宗師) 편에서 유래했습니다.장자는 '참된 친구 사이는 마음이 하나로 통해 서로 거스름이 없는 것'이라고 말하며, 막역한 친구를 진정한 우정의 이상적인 모습으로 설명했습니다.비슷한 의미의 사자성어로는 '지기지우(知己之友)'가 있습니다. 이는 '자신을 가장 잘 알아주는 친구'라는 뜻으로, 깊은 이해와 신뢰를 바탕으로 한 우정을 나타냅니다.반대되는 의미의 사자성어로는 '면종복배(面從腹背)'가 있습니다. 이는 '겉으로는 따르지만 속으로는 배신함'이라는 뜻으로, 진정한 우정과는 거리가 먼 위선적..

고육지책 苦肉之策 뜻 유래 간단히 - 고육지계 苦肉之計

고육지책 (苦肉之策)苦 쓸 고, 肉 고기 육, 之 갈 지, 策 꾀 책고육지책은 '자신의 살을 내주는 계책'이라는 뜻으로, 스스로 큰 희생을 감수하면서까지 문제를 해결하려는 궁여지책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이 표현은 중국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에서 유래했습니다.삼국 시대, 손권이 조조와의 결전을 앞두고 있었을 때, 오나라의 장수 황개(黃蓋)는 조조를 속이기 위한 계책을 세웠습니다. 그는 조조에게 투항하는 척하면서도 이를 믿게 만들기 위해 손권에게 자신을 공개적으로 매질하도록 요청했습니다.손권은 군사들 앞에서 황개를 심하게 채찍질하며 처벌했고, 황개는 상처를 입은 채 조조에게 항복을 청하는 서신을 보냈습니다. 조조는 이를 진심으로 받아들였고, 방심한 틈을 타 황개는 불타는 배를 이용한 '연환계(火燒連環..

구관명관 舊官名官 뜻 유래 간단히

구관명관 (舊官名官)舊 예 구, 官 벼슬 관, 名 이름 명, 官 벼슬 관구관명관은 ‘옛 관리가 명 관리’라는 뜻으로, 이전에 그 직책을 맡았던 사람이 새로운 사람보다 더 유능하고 경험이 많아 업무를 더 잘 수행한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 한국 속담 ‘구관이 명관이다’ 와 같은 뜻입니다.옛날 한 고을에 새로운 관리가 부임하였습니다. 마을 사람들은 새 관리가 개혁을 이루고 좋은 정치를 펼치기를 기대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행정이 엉망이 되고 민생이 어려워졌습니다. 그제야 사람들은 이전 관리가 다소 보수적이었지만 백성을 위하는 마음이 있었고, 행정도 능숙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이와 같은 사례에서 ‘구관명관’ 이라는 말이 생겨났으며, 이는 경험이 풍부한 사람이 더 나은 판단과 능력을 발휘할 수 있음을 ..

각곡유목 刻鵠類鶩 뜻 유래 간단히

각곡유목 (刻鵠類鶩)刻 새길 각, 鵠 고니 곡, 類 무리 류, 鶩 집오리 목각곡유목은 ‘고니를 새기려다 실패하더라도 집오리와 비슷하게는 된다’는 뜻으로, 높은 목표를 세우고 노력하면 기대한 바를 이루지 못하더라도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둘 수 있음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중국 전한(前漢) 시대의 학자 양웅(揚雄) 이 쓴 《법언(法言)》에 나오는 구절에서 유래되었습니다.옛날 어떤 사람이 나무에 고니를 조각하려 했습니다. 그는 고니의 우아한 모습과 날갯짓을 세밀하게 표현하고자 했으나, 기술이 부족하여 완벽한 고니를 만들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그 결과물은 집오리와 흡사했기에 사람들은 그의 노력을 높이 평가했습니다.이 이야기를 통해 "비록 목표한 바를 완전히 이루지 못하더라도, 노력하는 과정에서 일정 부분 성과를..

새옹지마 塞翁之馬 뜻 유래 간단히

새옹지마 (塞翁之馬)塞 변방 새, 翁 늙은이 옹, 之 갈 지, 馬 말 마새옹지마는 '변방 노인의 말'이라는 뜻으로, 인생의 길흉화복(吉凶禍福)은 예측할 수 없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이 표현은 중국 『회남자(淮南子)』에 나오는 이야기에서 유래했습니다.옛날 중국 북쪽 변방에 한 노인이 살고 있었습니다. 어느 날 그가 기르던 말 한 마리가 도망쳐 오랑캐 땅으로 사라졌습니다. 마을 사람들이 위로하자 노인은 태연하게 말했습니다."이 일이 복이 될지 어찌 알겠는가?"얼마 후, 도망갔던 말이 더 좋은 오랑캐의 준마(駿馬) 한 마리를 데리고 돌아왔습니다. 마을 사람들이 축하해 주자, 노인은 다시 말했습니다."이 일이 화가 될지 어찌 알겠는가?"그 후, 노인의 아들이 그 말을 타다가 떨어져 다리가 부러졌습니다. 사람..

갈이천정 渴而穿井 뜻 유래 간단히

갈이천정 (渴而穿井)渴 목마를 갈, 而 말이을 이, 穿 뚫을 천, 井 우물 정갈이천정은 '목이 말라야 비로소 우물을 판다'는 뜻으로, 미리 준비하지 않고 있다가 일이 닥친 후에야 서둘러 봐야 소용이 없음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이 표현은 중국 춘추시대 안자(晏子)의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습니다.제나라의 명재상 안자는 지혜롭고 신중한 인물이었습니다. 어느 날, 제나라의 신하 중 한 명이 평소 준비를 게을리하다가 갑자기 위기가 닥치자 허둥지둥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를 본 안자는 "목이 말라야 우물을 파는 것은 너무 늦은 일이다"라며 미리 대비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이후, 이 말이 '갈이천정'이라는 사자성어로 전해졌습니다.비슷한 의미의 사자성어로는 '임갈굴정(臨渴掘井)'이 있습니다. 이는 '목이 ..

대기만성 大器晩成 뜻 유래 간단히

대기만성 (大器晩成)大 클 대, 器 그릇 기, 晩 늦을 만, 成 이룰 성대기만성은 '큰 그릇을 만드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뜻으로, 크게 될 사람은 늦게 이루어진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이 표현은 중국 『노자(老子)』의 『도덕경(道德經)』에서 유래했습니다.노자는 “큰 그릇은 늦게 이루어진다(大器晩成)”고 하며, 위대한 인물은 시간이 걸려서 완성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는 재능이 늦게 드러나더라도 꾸준히 노력하면 큰 성취를 이룰 수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노자 (老子)老 늙을 노, 子 아들 자노자는 기원전 6세기경 춘추시대 말기의 사상가로, 도가(道家)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습니다.그의 사상은 『도덕경(道德經)』에 담겨 있으며, '도(道)'와 '무위자연(無爲自然)'을 핵심 개념으로 합니다.노자는..

와신상담 臥薪嘗膽 뜻 유래 간단히

와신상담 (臥薪嘗膽)臥 누울 와, 薪 섶나무 신, 嘗 맛볼 상, 膽 쓸개 담와신상담은 '섶나무 위에 누워 쓸개를 맛본다'는 뜻으로, 원수를 갚거나 목표를 이루기 위해 온갖 어려움과 괴로움을 참고 견딘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이 표현은 중국 춘추시대 오나라와 월나라 사이의 역사적 사건에서 유래합니다.오나라 왕 합려는 월나라 왕 구천과의 전투에서 패배하여 부상을 입고, 죽기 전 아들 부차에게 복수를 당부하였습니다. 부차는 아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해 방에 섶나무를 깔고 그 위에서 잠을 자며 복수를 다짐했습니다. 결국 그는 군대를 정비하여 월나라를 공격하고, 구천을 항복시켰습니다.그러나 패배한 월나라 왕 구천 역시 치욕을 잊지 않기 위해 매일 쓸개의 쓴맛을 보며 복수를 다짐했습니다. 그는 오랜 세월 동안 국력..

경국지색 傾國之色 뜻 유래 간단히

경국지색 (傾國之色)傾 기울 경, 國 나라 국, 之 갈 지, 色 빛 색경국지색은 '나라를 기울어지게 할 정도로 아름다운 여자'라는 뜻 입니다.이 표현은 『한서(漢書)』 「외척전(外戚傳)」에서 유래했으며, 천하를 뒤흔들 만큼 뛰어난 미모를 가진 여인을 가리킵니다.대표적인 예로 중국 역사에서 초한지의 우희(虞姬), 당나라 양귀비(楊貴妃) 등이 경국지색으로 불렸습니다. 초한지 우희 (虞姬)虞 기쁠 우, 姬 기생 희우희는 초한지 시대의 인물로, 서초패왕(西楚霸王) 항우(項羽)의 애첩이자 절세미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그녀의 본명과 출생지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우미인(虞美人)’이라는 칭호로 불렸으며, 항우와 깊은 사랑을 나누었습니다.초한전쟁 말기, 항우가 해하(垓下)에서 한나라 군대에 포위되어 사면초가(四..

가인박명 佳人薄命 뜻 유래 간단히

가인박명 (佳人薄命)佳 아름다울 가, 人 사람 인, 薄 엷을 박, 命 목숨 명가인박명은 '아름다운 사람은 운명이 기구하다'는 뜻으로, 여성이 아름다우면 단명하거나 인생이 불행하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이 표현은 중국 북송 시대의 문장가 소식(蘇軾, 1036∼1101)의 시에서 유래합니다.소식은 한 아름다운 승려의 불우한 삶을 보고 다음과 같은 시구를 남겼습니다."自古佳人多命薄 閉門春盡楊花落" (자고 가인다명박 폐문춘진양화락)이는 '예로부터 아름다운 사람은 운명이 기구하여, 문을 닫고 봄이 다하면 버드나무 꽃이 떨어진다'는 뜻으로, 아름다운 이들의 짧은 생애를 한탄하는 내용입니다. 이후 이 시에서 '가인박명'이라는 표현이 유래되었습니다.비슷한 의미의 사자성어로는 '미인박명(美人薄命)'이 있습니다. 이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