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88

동병상련 同病相憐 뜻 유래 간단히

동병상련 (同病相憐)同 같을 동, 病 병 병, 相 서로 상, 憐 불쌍히 여길 련동병상련은 '같은 병을 앓는 사람들이 서로를 가엾게 여긴다'는 뜻으로, 비슷한 어려움이나 고통을 겪는 사람들이 서로의 상황을 깊이 이해하고 동정하는 모습을 표현하는 사자성어입니다.이 표현은 중국 전한(前漢) 시대의 학자 유향(劉向)이 엮은 『신서(新序)』에 나오는 이야기에서 유래합니다.옛날 한 사람이 병에 걸려 심한 고통을 겪고 있었습니다. 그는 같은 병을 앓는 다른 사람을 만나게 되었고, 서로의 고통을 이해하며 위로를 나누었습니다. 이를 본 한 철학자는 "같은 병을 앓는 사람들은 서로의 아픔을 가장 잘 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처럼 비슷한 고난을 겪은 사람들끼리 서로를 더 잘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을 나타내는 말이 바로 '동..

천방지축 天方地軸 뜻 유래 간단히

천방지축 (天方地軸)天 하늘 천, 方 방향 방, 地 땅 지, 軸 굴대 축천방지축은 '하늘로 튀고 땅으로 구른다'는 뜻으로, 너무 급하게 날뛰거나 허둥지둥하는 모습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주로 어린아이나 경솔한 행동을 하는 사람을 가리킬 때 사용됩니다.이 표현의 유래는 중국 고대의 전쟁터에서 비롯되었다고 전해집니다.전투 중 말을 탄 병사들은 빠르게 적진을 뚫고 나가야 했지만, 말이 통제되지 않고 이리저리 날뛰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어떤 말들은 놀라거나 흥분해서 예측할 수 없는 방향으로 움직이며 병사들을 당황하게 만들었는데, 이러한 혼란스러운 모습을 보고 사람들은 '천방지축'이라 표현하기 시작했습니다.또한 이 표현은 어린아이의 행동을 묘사할 때도 자주 사용됩니다. 아이들은 세상을 탐구하며 자유롭게 뛰어다..

일확천금 一攫千金 뜻 유래 간단히

일확천금 (一攫千金)一 한 일, 攫 움킬 확, 千 일천 천, 金 쇠 금일확천금은 '단번에 천금을 움켜쥔다'는 뜻으로, 힘들이지 않고 한 번에 많은 재물을 얻는 것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이 표현은 고대 중국에서 유래되었습니다.옛날 한 마을에 가난하지만 영리한 청년이 있었습니다. 그는 항상 부자가 되고 싶었지만, 농사나 장사 같은 평범한 일에는 관심이 없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한 노인이 "산속 깊은 곳에 황금이 묻혀 있다"는 전설을 들려주었습니다. 청년은 그 말을 듣자마자 산으로 달려가 황금을 찾기 시작했습니다. 우연히 오래된 항아리를 발견했고, 그 안에는 많은 금화가 들어 있었습니다. 그는 순식간에 부자가 되었고, 마을 사람들은 그를 두고 '한 번 움켜쥐어 천금을 얻었다'며 '일확천금'이라는 말을..

차일피일 此日彼日 뜻 유래 간단히

차일피일 (此日彼日)此 이 차, 日 날 일, 彼 저 피, 日 날 일차일피일은 '이 날 저 날'이라는 뜻으로, 어떤 일을 자꾸 미루며 기한을 연기하는 상황을 표현하는 사자성어입니다.이 표현은 중국 『후한서(後漢書)』에서 유래한 것으로 전해집니다.후한 말기, 한 관리가 황제에게 중요한 보고를 올려야 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여러 이유로 보고를 차일피일 미루다가 결국 중요한 기회를 놓치고 말았습니다. 이 일화에서 비롯되어, 어떤 일을 계속해서 미루는 상황을 비유하는 표현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인면수심 人面獸心 뜻 유래 간단히

인면수심 (人面獸心)人 사람 인, 面 얼굴 면, 獸 짐승 수, 心 마음 심인면수심은 ‘사람의 얼굴을 하고 있으나 마음은 짐승과 같다’는 뜻으로, 겉모습은 인간이나 그 행동이나 마음이 몹시 흉악하거나 비열한 사람을 가리키는 사자성어입니다.이 표현은 중국 후한(後漢) 시대의 역사가 반고(班固)가 지은 《한서(漢書)》의 ‘흉노전(匈奴傳)’에서 유래합니다.반고는 흉노족을 묘사하며 "그들은 머리를 자르지 않고 길게 늘어뜨리며, 옷을 왼쪽으로 여미어 입고, 얼굴은 사람과 같으나 그 마음은 짐승과 같다"고 기록했습니다. 여기서 ‘인면수심’이라는 표현이 나왔으며, 이후 사람의 도리를 저버리고 비윤리적이거나 잔혹한 행위를 하는 사람을 비유하는 말로 쓰이게 되었습니다.비슷한 의미의 사자성어로는 ‘인비인(人非人)’이 있습니..

일기당천 一騎當千 뜻 유래 간단히

일기당천 (一騎當千)一 하나 일, 騎 말 탈 기, 當 마땅할 당, 千 일천 천일기당천은 '한 명의 기병이 천 명을 상대할 수 있다'는 뜻으로, 한 사람이 천 명을 감당할 만큼 뛰어난 무용(武勇)과 전투 능력을 갖추었음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이 표현은 중국 고대의 전쟁에서 유래되었습니다.특히 『삼국지』와 같은 역사서에서 자주 등장하는 말로, 뛰어난 장수들의 용맹함을 표현할 때 쓰였습니다. 삼국지에서 조조의 부하 장수였던 장료(張遼)는 합비 전투에서 800명의 병사로 오나라 10만 대군을 상대하며 대승을 거두었습니다. 당시 장료가 적진을 돌파하며 적장을 쓰러뜨리는 모습은 마치 '일기당천'이라는 말이 그대로 적용될 정도로 용맹했습니다.이러한 표현은 이후에도 뛰어난 무인(武人)이나 강한 전투력을 가진 사람을..

고진감래 苦盡甘來 뜻 유래 간단히

고진감래 (苦盡甘來)苦 쓸 고, 盡 다할 진, 甘 달 감, 來 올 래고진감래는 ‘쓴 것이 다하면 단 것이 온다’는 뜻으로, 고생 끝에 즐거움이 온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이 표현은 중국 당나라 시기의 한 일화에서 유래합니다.당나라 때 장수인 곽자의는 어려서부터 가난했지만 학문과 무예를 게을리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여러 번 전쟁에 나가 패배를 경험했지만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싸웠습니다. 결국 그는 나라를 위해 큰 공을 세웠고, 황제로부터 높은 벼슬과 부귀영화를 누릴 수 있는 보상을 받았습니다. 이처럼 힘든 시기를 참고 견디면 좋은 날이 온다는 의미에서 ‘고진감래’라는 말이 생겨났습니다.

개문읍도 開門揖盜 뜻 유래 간단히

개문읍도 (開門揖盜)開 열 개, 門 문 문, 揖 읍할 읍, 盜 도둑 도개문읍도는 '문을 열어 도둑을 맞이한다'는 뜻으로, 상황을 깨닫지 못하고 스스로 화를 불러들이는 행동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이 표현은 중국 후한 말기의 역사에서 유래합니다.오나라의 명장 손책(孫策)은 세력을 확장하던 중 당거(宕渠)의 태수 허공(許貢)이 자신을 제거해야 한다는 상소를 올렸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에 격분한 손책은 허공을 죽였지만, 허공의 식객 세 명이 주군의 원수를 갚기 위해 손책을 습격하여 치명상을 입혔습니다. 상처가 악화된 손책은 결국 동생 손권(孫權)에게 후사를 맡기고 세상을 떠나게 되었습니다.손권은 형의 죽음에 깊은 슬픔에 빠졌고, 국정을 돌볼 겨를이 없었습니다. 이때 오나라의 명신 장소(張昭)가 간언..

계명구도 鷄鳴狗盜 뜻 유래 간단히

계명구도 (鷄鳴狗盜)鷄 닭 계, 鳴 울 명, 狗 개 구, 盜 도둑질할 도계명구도는 '닭 울음소리를 흉내 내고 개처럼 도둑질한다'는 뜻으로, 하찮아 보이는 재주나 능력도 상황에 따라서는 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뜻하는 사자성어입니다.이 표현은 중국 전국시대의 맹상군(孟嘗君)과 관련된 이야기에서 유래합니다.맹상군은 수많은 식객을 거느렸는데, 그 중에는 닭 울음소리를 흉내 내는 자와 개처럼 몰래 물건을 훔치는 자도 있었습니다. 어느 날, 맹상군이 진나라 소양왕(昭襄王)에게 초청받아 갔다가 감금되는 위기에 처했습니다. 이때 개 흉내를 잘 내는 식객이 몰래 진나라 궁궐에 들어가 맹상군이 선물했던 귀한 가죽옷을 훔쳐 애첩에게 전달하여 그녀의 도움으로 맹상군을 풀려나게 했습니다. 또, 탈출 중 닭 울음소리를 흉내 내..

간담상조 肝膽相照 뜻 유래 간단히

간담상조 (肝膽相照)肝 간 간, 膽 쓸개 담, 相 서로 상, 照 비출 조간담상조는 '간과 쓸개를 서로 비추어 보여 준다'는 뜻으로, 서로 진심을 나누고 신뢰를 바탕으로 마음을 터놓는 관계를 뜻하는 사자성어입니다. 깊은 우정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흔히 사용됩니다.이 표현은 중국 당나라 시기의 문장가 한유(韓愈)와 그의 친구 유종원(柳宗元)의 이야기에서 유래했습니다.유종원이 좌천되어 먼 지역으로 임명되자 한유는 친구를 위로하고 도우며 진심 어린 우정을 보여 주었습니다. 한유는 유종원의 인격과 재능을 높이 평가하며 그의 어려움을 자신의 일처럼 여기고 함께했습니다. 이러한 행동은 두 사람의 관계가 속마음을 드러내고 서로 신뢰하며 지내는 '간담상조'의 의미를 잘 보여줍니다.비슷한 의미의 사자성어로는 '막역지우(莫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