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88

견토지쟁 犬兎之爭 뜻 유래 간단히

견토지쟁 (犬兎之爭)犬 개 견, 兎 토끼 토, 之 갈 지, 爭 다툴 쟁견토지쟁은 '개와 토끼의 싸움'이라는 뜻으로, 두 존재가 다투는 동안 제삼자가 이득을 보는 상황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견토지쟁은 중국 『전국책(戰國策)』 「연책(燕策)」 편에서 유래되었습니다.옛날 개가 들판에서 토끼를 쫓으며 치열하게 싸웠습니다. 개는 빠르게 달려 토끼를 물려고 했고, 토끼도 필사적으로 도망쳤습니다. 결국 둘은 힘이 다해 쓰러졌습니다.그때 지나가던 사냥꾼이 개와 토끼를 모두 쉽게 잡아버렸습니다. 개와 토끼는 서로 싸우느라 지쳐 아무런 힘도 쓸 수 없었고, 결국 둘 다 사냥꾼의 손에 들어가고 말았습니다.이를 본 사람이 “개와 토끼가 싸우는 동안 결국 이득을 본 것은 사냥꾼이었다”라고 말한 데서 견토지쟁이라는 말이 생겨..

흥진비래 興盡悲來 뜻 유래 간단히

흥진비래 (興盡悲來)興 일어날 흥, 盡 다할 진, 悲 슬플 비, 來 올 래흥진비래는 '즐거움이 다하면 슬픔이 온다'는 뜻으로, 인생의 기쁨과 슬픔이 순환하며 반복됨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이 표현은 당나라 초기 시인 왕발(王勃)의 『등왕각서(滕王閣序)』에서 유래했습니다. 왕발은 이 작품에서 인생의 무상함과 변화를 표현하며, 즐거움이 지나면 슬픔이 온다는 의미를 담았습니다.즉, 세상의 흥망성쇠와 인간사의 변천을 나타내며, 좋은 일이 있으면 반드시 나쁜 일도 있을 수 있음을 경고하는 뜻으로 사용됩니다.이는 지나친 기쁨에 도취되지 말고, 늘 조심스럽고 겸손한 자세를 가져야 한다는 교훈을 줍니다.또한, '고진감래(苦盡甘來)'와 반대되는 의미로, 즐거움이 지나가면 슬픔이 올 수 있음을 상기시켜 주는 말이기도 합..

경이원지 敬而遠之 뜻 유래 간단히

경이원지 (敬而遠之)敬 공경할 경, 而 말 이을 이, 遠 멀 원, 之 갈 지경이원지는 '공경하되 가까이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겉으로는 공경하는 척하지만 속으로는 멀리하는 태도를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이 표현은 공자의 『논어(論語)』 옹야편(雍也篇)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공자는 제자 번지가 지혜에 대해 묻자, "백성의 의로움을 추구하고, 귀신을 공경하되 멀리하는 것이 지혜다(敬鬼神而遠之)."라고 답했습니다. 여기서 '공경하되 멀리한다'는 말이 경이원지의 유래가 되었습니다.이후 이 표현은 단순히 귀신뿐만 아니라, 사람 사이에서도 겉으로는 예의를 갖추지만 속으로는 멀리하는 태도를 의미하는 말로 확장되었습니다. 특히 믿을 수 없는 사람이나 불필요한 관계를 유지할 때 이와 같은 태도를 취하는 것이 지혜로운 처신..

후안무치 厚顔無恥 뜻 유래 간단히

후안무치 (厚顔無恥)厚 두터울 후, 顔 얼굴 안, 無 없을 무, 恥 부끄러울 치후안무치는 '얼굴이 두껍고 부끄러움을 모른다'는 뜻으로, 염치없이 뻔뻔한 사람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이 표현은 중국 『서경(書經)』의 「오자지가(五子之歌)」에서 유래되었습니다.하(夏)나라의 임금 태강(太康)은 정사를 돌보지 않고 사냥에만 몰두하였습니다. 이에 불만을 품은 백성들은 그를 몰아내고, 그의 다섯 동생들은 나라를 잃은 슬픔을 노래하였습니다. 그중 막내 동생이 부른 노래에는 '얼굴이 뜨겁고 부끄러워 견딜 수 없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이때의 표현에서 '厚顔(후안)'이란 말이 유래되었으며, 이후 '無恥(무치)'와 결합하여 '후안무치'라는 말이 생겨났습니다.이 사자성어는 자신의 잘못을 부끄러워하지 않고 뻔뻔하게..

연환계 連環計 뜻 유래 간단히

연환계 (連環計)連 잇닿을 연, 環 고리 환, 計 꾀할 계연환계는 '고리처럼 서로 연결된 계책'이라는 뜻으로, 여러 가지 계략을 연속적으로 사용하여 적을 혼란에 빠뜨리는 전략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이 표현은 중국 『삼십육계(三十六計)』의 35번째 계책으로, 패전계(敗戰計)에 속합니다.대표적인 사례로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에서 등장하는 적벽대전이 있습니다. 당시 조조는 거대한 수군을 이끌고 남하했으나, 주유와 방통의 계략에 빠지게 됩니다.방통은 조조에게 병사들의 배멀미를 막기 위해 배들을 쇠사슬로 연결하라고 제안했고, 조조는 이를 받아들였습니다. 하지만 이는 주유와 황개의 화공(火攻) 작전을 위한 계책이었습니다.황개는 조조에게 투항하는 척하며 불이 붙은 배를 조조의 함대에 돌진시켰고, 서로 묶여 있..

곡학아세 曲學阿世 뜻 유래 간단히

곡학아세 (曲學阿世)曲 굽을 곡, 學 배울 학, 阿 아첨할 아, 世 세상 세곡학아세는 '학문을 왜곡하여 세상에 아첨한다'는 뜻으로, 자신의 학문이나 지식을 올바르게 사용하지 않고 권력이나 이익을 위해 곡해하는 태도를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이 표현은 중국 『사기(史記)』의 유림열전(儒林列傳)에서 유래했습니다.한나라 경제(景帝) 때, 학자 원고생(轅固生)은 강직한 성품으로 직언을 서슴지 않았습니다. 그는 황제의 신뢰를 받았으나, 다른 신하들은 그의 강직함을 탐탁지 않아 했습니다.후에 젊은 학자 공손홍(公孫弘)이 원고생과 함께 등용되었고, 그는 원고생을 시골 늙은이라며 무시했습니다. 그러나 원고생은 차분히 말했습니다. "학문이 바른 길을 잃고 세상에 아첨하는 것은 큰 문제네. 자네는 학문을 좋아한다 들었으니..

수주대토 守株待兎 뜻 유래 간단히

수주대토 (守株待兎)守 지킬 수, 株 그루터기 주, 待 기다릴 대, 兎 토끼 토수주대토는 '그루터기를 지키며 토끼를 기다린다'는 뜻으로, 낡은 방식이나 요행에만 의존하여 발전하지 못하는 어리석음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이 표현은 중국 『한비자(韓非子)』의 오두(五蠹) 편에서 유래했습니다.옛날 중국 송(宋)나라에 한 농부가 있었습니다. 어느 날, 들판에서 일하던 농부는 갑자기 한 마리의 토끼가 빠른 속도로 뛰어오더니 나무 그루터기에 부딪혀 즉사하는 것을 보았습니다.농부는 뜻밖의 횡재를 하고 기뻐하며, 다시 이런 일이 생길 것을 기대했습니다. 이후로는 밭일을 하지 않고 하루 종일 그루터기 옆에 앉아 또 다른 토끼가 부딪쳐 죽기를 기다렸습니다.그러나 다시는 그런 행운이 찾아오지 않았고, 결국 농부의 밭은 황..

측은지심 惻隱之心 뜻 유래 간단히

측은지심 (惻隱之心)惻 슬플 측, 隱 숨을 은, 之 갈 지, 心 마음 심측은지심은 '불쌍하고 가엾게 여기는 마음'이라는 뜻으로, 타인의 고통을 보고 동정하는 인간 본연의 감정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이 표현은 중국 고대 사상가 맹자(孟子)의 철학에서 유래했습니다.맹자는 “사람에게는 누구나 네 가지의 마음이 있다”고 하며, 그중 하나로 측은지심을 들었습니다. 그는 어린아이가 우물가에서 떨어지려 할 때, 누구나 본능적으로 걱정하고 도와주려는 마음이 이는 것을 예로 들며, 이것이 인간이 본래 가지고 있는 선한 마음이라고 설명했습니다.측은지심은 인(仁)의 근본이 되는 감정으로, 인간이 도덕적 삶을 살아가는 중요한 요소로 여겨집니다. 맹자 (孟子)孟 맏 맹, 子 아들 자맹자(孟子, 기원전 372~289년)는 중..

조조의 망매지갈 望梅止渴 뜻 유래 간단히

망매지갈 (望梅止渴)望 바랄 망, 梅 매실 매, 止 그칠 지, 渴 목마를 갈망매지갈은 '매실을 바라보며 갈증을 해소한다'는 뜻으로, 간절히 원하는 것을 떠올리며 위안을 삼는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이 표현은 중국 삼국시대 위(魏)나라의 조조(曹操)와 관련된 일화에서 유래했습니다.조조가 군사를 이끌고 가던 중, 군사들이 심한 갈증을 호소하자 그는 “저 앞에 매화나무 숲이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를 들은 군사들은 시큼한 매실을 떠올리며 침이 고였고, 덕분에 갈증을 덜 수 있었다고 전해집니다.망매지갈은 실제로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한 상태에서도 심리적인 만족을 얻거나, 기대감을 통해 어려움을 참아낸다는 의미로 쓰입니다. 조조 (曹操)曹 성 조, 操 잡을 조조조(曹操, 155~220)는 중국 후한 말기와 삼국..

갈택이어 竭澤而漁 뜻 유래 간단히

갈택이어 (竭澤而漁)竭 다할 갈, 澤 못 택, 而 말 이을 이, 漁 고기 잡을 어갈택이어는 '연못의 물을 말려 고기를 잡는다'는 뜻으로, 눈앞의 이익만을 추구하여 장래의 손해를 고려하지 않는 행위를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옹계(雍季)는 중국 춘추시대 진(晉)나라의 대부로, 진 문공(文公) 시기에 활동한 인물입니다.그는 성복(城濮) 전투를 앞두고 문공에게 전략적 조언을 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당시 문공은 초(楚)나라와의 전투를 앞두고 신하인 구범(咎犯)의 계책을 들었습니다. 구범은 적을 속이는 전략을 제안했지만, 옹계는 이에 대해 반대하며 다음과 같이 충고했습니다."연못의 물을 말려 물고기를 잡으면 당장은 이득을 얻겠지만, 다음 해에는 물고기가 없을 것입니다."옹계는 단기적인 이익을 위해 장기적인 손해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