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곡유목 (刻鵠類鶩)
刻 새길 각, 鵠 고니 곡, 類 무리 류, 鶩 집오리 목
각곡유목은 ‘고니를 새기려다 실패하더라도 집오리와 비슷하게는 된다’는 뜻으로, 높은 목표를 세우고 노력하면 기대한 바를 이루지 못하더라도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둘 수 있음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중국 전한(前漢) 시대의 학자 양웅(揚雄) 이 쓴 《법언(法言)》에 나오는 구절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옛날 어떤 사람이 나무에 고니를 조각하려 했습니다. 그는 고니의 우아한 모습과 날갯짓을 세밀하게 표현하고자 했으나, 기술이 부족하여 완벽한 고니를 만들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그 결과물은 집오리와 흡사했기에 사람들은 그의 노력을 높이 평가했습니다.
이 이야기를 통해 "비록 목표한 바를 완전히 이루지 못하더라도, 노력하는 과정에서 일정 부분 성과를 거둘 수 있다"는 교훈이 전해졌고, 이후 각곡유목이라는 사자성어가 생겨났습니다.
각곡유목은 우리가 목표를 높게 설정하고 도전할 때, 비록 최상의 결과를 얻지 못하더라도 최소한의 성과는 거둘 수 있음을 강조하는 말입니다.
'고사, 유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육지책 苦肉之策 뜻 유래 간단히 - 고육지계 苦肉之計 (0) | 2025.02.16 |
---|---|
구관명관 舊官名官 뜻 유래 간단히 (0) | 2025.02.15 |
새옹지마 塞翁之馬 뜻 유래 간단히 (0) | 2025.02.14 |
갈이천정 渴而穿井 뜻 유래 간단히 (0) | 2025.02.13 |
대기만성 大器晩成 뜻 유래 간단히 (0) | 2025.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