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88

간담초월 (肝膽楚越) 뜻

간담초월 (肝膽楚越)肝 간 간, 膽 쓸개 담, 楚 초나라 초, 越 월나라 월간담초월은 본래 서로 가까운 위치에 있는 간(肝)과 쓸개처럼 가까운 사이인 것처럼 보이지만, 초나라와 월나라처럼 실제로는 멀어진 관계를 뜻하는 사자성어입니다.즉, 겉으로는 가까워 보이지만 마음은 멀어진 상태, 또는 가까운 사이였지만 정이 다 떨어진 상태를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특히 인간관계에서 신뢰가 깨졌거나 마음이 멀어졌을 때 쓰이는 말입니다.이 사자성어는 중국 고전 『장자(莊子)』 「덕충부(德充符)」에 나오는 말로, 공자의 말에서 유래했습니다. 그는 “마음이 같으면 멀리 떨어져 있어도 가깝고, 마음이 다르면 간과 쓸개처럼 가까워 보여도 초나라와 월나라처럼 멀다”고 하였습니다.예문어릴 적부터 친구였지만, 이젠 서로 말을 아끼는..

각양각색 (各樣各色) 뜻

각양각색 (各樣各色)各 각각 각, 樣 모양 양, 各 각각 각, 色 빛 색각양각색은 '여러 가지 모양과 색깔'이라는 뜻으로, 사물이나 사람, 생각 등이 모양도 다르고 색깔도 제각각임을 표현하는 사자성어입니다.즉, 모두가 다른 개성과 특징을 지니고 있어 다양하게 어우러지는 상태를 말하며, 다양한 사람들, 다양한 취향, 다양한 문화 등을 묘사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각각의 모습과 색채가 다르다'는 의미에서 파생되어, 하나의 틀에 갇히지 않고 자유롭고 다채로운 존재나 현상을 긍정적으로 표현할 때 주로 쓰입니다.일상적으로는 '각양각색의 옷차림', '각양각색의 의견', '각양각색의 인생 이야기' 등과 같이 활용됩니다.예문도시의 시장에는 각양각색의 사람들이 모여 삶의 활기를 더한다.전시회에는 각양각색의 작품들이 걸려..

감개무량 (感慨無量) 뜻

감개무량 (感慨無量)感 느낄 감, 慨 슬퍼할 개, 無 없을 무, 量 헤아릴 량감개무량은 마음속 깊이 느끼는 감동이나 슬픔이 너무 커서 말로 다 표현할 수 없을 만큼 벅차다는 뜻의 사자성어입니다.기쁨, 슬픔, 감사, 경외심 등 다양한 감정이 한꺼번에 밀려올 때 사용하는 표현으로, 특히 오랜 시간 기다려온 일이 이루어졌거나, 큰 의미를 지닌 장면을 마주할 때 자주 쓰입니다.예를 들어, 긴 여정 끝에 가족과 재회했을 때나, 나라를 위해 헌신한 이들의 희생을 되새길 때, 또는 오랜 세월 준비한 일이 결실을 맺었을 때, 우리는 흔히 "감개무량하다"고 말합니다.한자에서 '感'과 '慨'는 마음속에서 깊이 느끼는 감정을, '無量'은 그 크기를 헤아릴 수 없음을 의미합니다. 즉, 감동이 너무 커서 가늠조차 할 수 없는 ..

공고진주 (功高震主) 뜻

공고진주 (功高震主)功 공 공, 高 높을 고, 震 놀랄 진, 主 주인 주공고진주는 ‘공로가 너무 커서 주군을 놀라게 한다’는 뜻의 사자성어로, 뛰어난 공적이 오히려 윗사람의 경계심을 불러와 자신의 지위나 신변이 위태로워질 수 있음을 경고하는 말입니다.이 말은 중국 사마천의 《사기(史記)·회음후열전(淮陰侯列傳)》에서 유래했습니다. 여기서 “용맹하고 담략이 뛰어나 주군을 놀라게 하는 자는 몸이 위태롭고, 공이 천하를 덮는 자는 상을 받지 못한다”라는 구절이 나옵니다. 이는 지나친 공적이 주군에게 부담과 위협으로 느껴질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예문그 장군은 수많은 전공을 세웠지만, 결국 공고진주로 인해 권력의 중심에서 멀어졌다.회사의 실적을 크게 끌어올렸지만, 상사의 경계심을 사는 바람에 그는 공고진주의 처지에..

병가지상사 (兵家之常事) 뜻

병가지상사 (兵家之常事)兵 군사 병, 家 집 가(전문가), 之 의 지, 常 항상 상, 事 일 사병가지상사는 ‘전쟁을 다루는 이에게 있어서 늘 있는 일’이라는 뜻으로, 승패는 전쟁에서 흔히 있는 일이며 실패나 실수도 자연스러운 상황임을 나타내는 사자성어입니다. 작은 실패에 지나치게 연연하지 말고, 평정심을 유지하라는 의미로도 쓰입니다.이 표현은 중국 당나라 《당서(唐書)》 배도전(裵度傳)에 나오는 이야기에서 유래했습니다. 전쟁에서 패한 장수를 위로하며 “한 번 이기고 한 번 지는 것은 전장에서 늘 있는 일이다(一勝一敗 兵家常事)”라고 한 데서 비롯되었습니다.예문한 번의 패배에 낙담하지 마라. 병가지상사일 뿐이다.사업 실패를 겪은 그는 병가지상사라며 다시 도전했다.마무리 이야기‘병가지상사’는 결과에 일희일비..

견마지심 (犬馬之心) 뜻

견마지심 (犬馬之心)犬 개 견, 馬 말 마, 之 의 지, 心 마음 심견마지심은 ‘개와 말이 주인을 위해 헌신하는 마음’을 비유한 사자성어로, 은혜를 입은 사람이나 윗사람에게 변함없는 충성과 봉사를 다하려는 겸손한 마음을 뜻합니다.옛날에는 신하가 임금에게 바치는 충성심을 표현할 때 자주 쓰였으며, 현대에는 부모·스승·은인 등에게 감사와 헌신의 뜻을 전하는 데에도 비유적으로 사용됩니다.예문신하는 견마지심으로 나라에 충성을 다하겠다고 맹세했다.그는 스승의 가르침에 보답하기 위해 평생 견마지심으로 노력했다.비슷한 사자성어분골쇄신 (粉骨碎身): 뼈와 몸이 부서질 정도로 헌신한다는 의미입니다.마무리 이야기‘견마지심’은 단순한 충성심을 넘어, 자신을 낮추고 은혜를 잊지 않으며 끝까지 보답하려는 마음을 담고 있습니다...

남가일몽 (南柯一夢) 뜻

남가일몽 (南柯一夢)南 남녘 남, 柯 가지 가, 一 한 일, 夢 꿈 몽남가일몽은 '남쪽 나뭇가지 아래에서 꾼 한 꿈'이라는 뜻으로, 한때의 영화나 성공이 결국 헛된 꿈처럼 사라지는 일, 또는 인생의 덧없음과 허망함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이 말은 중국 당나라 때의 이야기에서 유래합니다. 어느 날 순우분(淳于棼)이라는 인물이 괴화나무 아래에서 잠이 들었고, 꿈속에서 대괴국의 왕의 사위가 되어 출세와 부귀를 누리다 깨어 보니 모두 한순간의 꿈이었던 일화에서 비롯되었습니다.‘남가일몽’은 이처럼 삶의 허무함, 성공의 덧없음, 또는 헛된 야망 등을 말할 때 쓰이며, 교훈적 또는 철학적인 맥락에서도 자주 사용됩니다.예문그의 대단했던 정치 인생도 결국 남가일몽처럼 사라졌다.화려한 승진과 부귀영화도 잠시뿐, 돌이켜보..

호형호제 (呼兄呼弟) 뜻

호형호제 (呼兄呼弟)呼 부를 호, 兄 형 형, 呼 부를 호, 弟 아우 제호형호제는 친구 사이가 매우 가까워 서로를 '형', '아우'라고 부르며 지내는 사이를 뜻하는 사자성어입니다. 피를 나눈 형제가 아니어도 마음이 통하고 정이 깊어, 마치 한 가족처럼 허물없이 지내는 친밀한 관계를 표현합니다.이 말은 의형제, 또는 우정이 깊은 친구 관계를 나타낼 때 자주 사용되며, 격식 없이 서로를 편하게 부르며 정을 나누는 모습을 의미합니다.예문두 사람은 군 시절부터 호형호제하며 지금까지도 절친한 사이다.비록 혈연은 아니지만, 우리는 오랜 시간 함께한 호형호제하는 사이다.마무리 이야기‘호형호제’는 단순한 우정을 넘어, 마음으로 맺어진 형제 같은 관계를 표현하는 말입니다. 서로를 높이거나 거리를 두지 않고 편하게 부르며..

두문불출 (杜門不出) 뜻

두문불출 (杜門不出)杜 막을 두, 門 문 문, 不 아닐 불, 出 날 출‘두문불출’은 ‘문을 닫고 밖으로 나가지 않는다’는 뜻으로, 세상과 단절하고 집이나 은둔처에 틀어박혀 지냄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고려가 멸망하고 조선이 건국된 후, 새 왕조에 협력하지 않고 충절을 지킨 고려 신하 72인이 경기도 개풍의 두문동(杜門洞)에 숨어 세상과의 접촉을 끊은 사건에서 널리 쓰이게 되었습니다. 이후 충절, 은둔, 자발적 고립의 의미로 확장되었습니다.현대에는 정치적 저항이나 충절보다는, 외부 활동을 꺼리고 스스로 고립된 채 살아가는 상태를 묘사할 때 많이 사용됩니다.예문시험을 앞두고 두문불출하며 공부에만 몰두했다.그는 사건 이후 모든 연락을 끊고 두문불출하고 있다.비슷한 사자성어은둔자(隱遁者): 세상과 거리를 두고..

길흉화복 (吉凶禍福) 뜻

길흉화복 (吉凶禍福)吉 길할 길, 凶 흉할 흉, 禍 재앙 화, 福 복 복‘길흉화복’은 사람의 삶이나 운명 속에서 길(吉, 좋은 일)과 흉(凶, 나쁜 일), 화(禍, 재앙)와 복(福, 행복)이 엇갈리거나 함께 나타나는 것을 뜻하는 사자성어입니다.이 말은 삶은 늘 좋기만 하지도, 나쁘기만 하지도 않으며, 행운과 불행이 반복되고 예측할 수 없이 변화함을 강조합니다. 고대 중국 고전 《회남자》에서는 “화와 복은 같은 문으로 들어온다(禍與福同門)”는 표현으로 이 개념을 설명하기도 했습니다.오늘날에는 인생의 기복, 운명의 변화무쌍함, 좋은 일과 나쁜 일이 언제든 뒤바뀔 수 있다는 철학적 통찰을 담은 말로 널리 사용됩니다.예문인생은 길흉화복이 따르기 마련이니, 기쁨과 슬픔에 흔들리지 말라.그 일은 처음엔 재앙 같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