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재의 시조 "오백년 도읍지를 필마로 돌아드니"는 고려의 몰락을 슬퍼하며, 유구한 자연과 인간사의 무상함을 대조적으로 표현한 작품입니다.
이 시는 길재가 고려의 옛 수도였던 개성(송도)을 말을 타고 돌아보며 느낀 감회를 담고 있습니다.
작품 해석
- 오백 년 도읍지: 고려가 500년간 수도로 삼았던 개성을 의미합니다.
- 필마로 돌아드니: 홀로 말을 타고 옛 수도를 돌아본다는 것은, 나라를 잃은 고독한 충신의 외로움을 드러냅니다.
- 산천은 의구하되 인걸은 간 듸 없다: 산천은 변하지 않았지만, 인재들은 모두 사라져버렸다는 구절은 자연의 영원성과 인간사의 덧없음을 대비시켜 고려 멸망의 비애를 표현합니다.
- 태평연월이 꿈이런가 하노라: 태평성대였던 고려가 한낱 꿈처럼 사라진 현실을 탄식하며, 역사와 인생의 무상함을 느낍니다.
이 시조는 맥수지탄과 같은 심정으로 나라의 패망을 한탄하며, 세상의 변화와 덧없음을 반영한 고전적인 회고시로 평가됩니다.
'고사, 유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말 절의와 학문의 상징 고려삼은 (2) | 2024.11.18 |
---|---|
강구연월 康衢煙月 뜻 유래 간단히 (2) | 2024.11.17 |
고려에서 조선으로 길재의 충절과 학문의 유산 (0) | 2024.11.15 |
격세지감 隔世之感 뜻 유래 간단히 (0) | 2024.11.14 |
지천명 知天命 뜻 유래 간단히 (1) | 2024.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