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낙일 (孤城落日)
孤 외로울 고, 城 성 성, 落 떨어질 낙, 日 해 일
고성낙일은 '외로운 성과 지는 해'라는 뜻으로, 한때 번성했던 것이 점차 쇠퇴하여 쓸쓸하게 남은 모습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이 표현은 주로 세력이나 권위가 점점 약해져가는 상황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강대했던 왕조가 몰락하거나, 위세를 떨치던 권력자가 쇠락해가는 모습을 '고성낙일'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개인의 삶에서도 한창 전성기를 누리다가 노년기에 접어들어 점차 고독함을 느끼는 상황을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은퇴 후 사회와 단절된 채 쓸쓸히 살아가는 노인의 모습도 '고성낙일'이라는 표현으로 묘사될 수 있습니다.
이 사자성어는 단순한 몰락이나 쇠퇴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지나간 영광과 그로 인해 더욱 깊이 느껴지는 쓸쓸함을 강조하는 말입니다.
기진맥진 (氣盡脈盡)
氣 기운 기, 盡 다할 진, 脈 맥 맥, 盡 다할 진
기진맥진은 '기운과 맥박이 모두 다했다'는 뜻으로, 온 힘을 다 써버려 완전히 지쳐버린 상태를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이 표현은 육체적 피로뿐만 아니라 정신적으로도 극도로 지친 상태를 묘사하는 데 쓰입니다. 예를 들어, 장시간 노동이나 격렬한 운동 후에 완전히 탈진했을 때 '기진맥진하다'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어떤 목표를 이루기 위해 최선을 다했지만 더 이상 힘을 낼 수 없는 상태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힘든 상황 속에서 모든 에너지를 소진하고 나면, 우리는 기진맥진한 상태가 됩니다.
이처럼 기진맥진은 단순한 피로를 넘어서 더 이상 버틸 힘조차 없는 극도의 탈진 상태를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고사, 유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화만사성 家和萬事成, 가이동가이서 可以東可以西 뜻 간단히 (0) | 2025.04.01 |
---|---|
거두대면 擧頭對面, 검무면목 劍無面目 뜻 간단히 (0) | 2025.03.31 |
겸인지용 兼人之勇, 결사항전 決死抗戰 뜻 간단히 (0) | 2025.03.29 |
고추부서 孤雛腐鼠, 공생공사 共生共死 뜻 간단히 (0) | 2025.03.28 |
반포지효 反哺之孝 뜻 유래 간단히 (1) | 2025.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