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유래 이야기

대기만성 大器晩成 뜻 유래 간단히

그 너머 이야기 2025. 2. 13. 04:10

대기만성 (大器晩成)

대, 그릇 기, 늦을 만, 이룰

대기만성은 '큰 그릇을 만드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뜻으로, 크게 될 사람은 늦게 이루어진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

대기만성 (大器晩成)

이 표현은 중국 『노자(老子)』의 『도덕경(道德經)』에서 유래했습니다.

노자는 “큰 그릇은 늦게 이루어진다(大器晩成)”고 하며, 위대한 인물은 시간이 걸려서 완성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는 재능이 늦게 드러나더라도 꾸준히 노력하면 큰 성취를 이룰 수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노자 (老子)

늙을 노, 아들

노자는 기원전 6세기경 춘추시대 말기의 사상가로, 도가(道家)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의 사상은 『도덕경(道德經)』에 담겨 있으며, '도(道)'와 '무위자연(無爲自然)'을 핵심 개념으로 합니다.

노자는 자연의 이치를 따르며 억지로 행동하지 않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삶의 방식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노자의 대표적인 명언으로는 “천리길도 한 걸음부터(千里之行 始於足下)”가 있습니다. 이는 모든 큰 일도 작은 시작에서 비롯된다는 의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