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너머 이야기

  • 홈
  • 태그
  • 방명록

맹교 1

주마간화 走馬看花 뜻 유래 간단히

주마간화 (走馬看花)走 달릴 주, 馬 말 마, 看 볼 간, 花 꽃 화달리는 말 위에서 꽃을 본다는 뜻으로, 바쁘게 움직이면서 사물을 자세히 살피지 못하고 대충 훑어본다는 의미를 가진 사자성어입니다.중국 당나라의 시인 맹교(孟郊)의 시 등과후(登科後)에서 유래했습니다. 맹교는 46세에 과거 시험에 급제한 후 그 기쁨을 시로 표현했는데, 다음과 같은 구절이 등장합니다. “지난날 궁핍했을 때는 자랑할 것 없더니, 오늘은 봄바람을 타고 세찬 말에 올라 하루 만에 장안의 모든 꽃을 다 보았네.” 이 시에서 '주마간화'라는 표현이 유래되었습니다.맹교의 표현은 기쁨에 겨워 하루 만에 장안의 모든 아름다움을 감상했다고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바쁘게 이동하며 제대로 감상할 여유가 없었음을 의미합니다. 이후 '주마간화'는 ..

고사, 유래 이야기 2024.11.24
이전
1
다음
더보기
프로필사진

그 너머 이야기

안녕하세요! 이 블로그는 전통, 한자, 사자성어와 그에 얽힌 유래, 교훈을 소개하는 공간입니다. 고전 속 깊은 지혜와 아름다운 동양 미학을 통해 일상에 새로운 영감을 더해보세요.

  • 분류 전체보기 (186) N
    • 한국사, 인물, 신화 이야기 (0)
    • 중국사, 인물, 신화 이야기 (2)
    • 세계사, 인물, 신화 이야기 (2)
    • 고사, 유래 이야기 (182) N

Tag

맹상군, 한서, 한나라, 일반천금, 태평연월, 막역지우, 초나라, 회남자, 상앙, 정몽주, 한유, 춘추시대, 마량, 논어, 포숙아, 유종원, 항우, 길재, 이임보, 제나라, 손권, 당나라, 전국시대, 소하, 한신, 공자, 연환계, 조비, 한비자, 춘추좌씨전,

최근글과 인기글

  • 최근글
  • 인기글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