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유래, 뜻 이야기

부관참시 剖棺斬屍 뜻 유래 간단히

그 너머 이야기 2025. 2. 24. 08:00

부관참시 (剖棺斬屍)

쪼갤 부, 관, 참, 시체

부관참시는 '관을 쪼개고 시체를 벤다'는 뜻으로, 이미 사망한 사람의 생전 죄악이 드러났을 때 무덤을 파헤쳐 시신을 꺼내어 처벌하는 행위를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안개 낀 산과 고대 무덤터, 부서진 묘석들이 어우러져 역사적 심판과 숙연한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이러한 행위는 주로 반역자나 중대한 죄를 저지른 권력자들에게 적용되었으며, 사후에도 그들의 죄를 단죄하고자 하는 의도가 담겨 있습니다.

조선 시대의 대표적인 사례로, 연산군 때의 권신 임사홍이 있습니다. 그는 생전에 부정과 비리를 저질렀으며, 결국 연산군이 폐위된 후 중종반정이 일어나자 그의 시신은 부관참시를 당했습니다. 이외에도 고려 말 권신 이인임, 조선 후기의 변절자 이완용 등이 사후에 부관참시를 당한 사례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부관참시'라는 표현이 비유적으로 사용되어, 이미 끝난 일이나 사망한 사람에 대한 비판이나 논란을 다시 끄집어내는 행위를 의미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