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리망의 (見利忘義)
見 볼 견, 利 이로울 리, 忘 잊을 망, 義 옳을 의
견리망의는 '이익을 보면 의리를 잊는다'는 뜻으로, 개인적인 이익을 좇느라 도덕적 의리나 올바른 가치를 잊어버리는 태도를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즉, 자신의 이득을 위해 도덕적 원칙을 저버리는 행위를 비판할 때 사용됩니다. 흔히 탐욕스럽거나 신의를 저버리는 행동을 경계하는 의미로 쓰입니다.
이 표현은 『논어(論語)』의 「헌문편(憲問篇)」에서 유래했습니다. 공자는 '견리사의(見利思義)' 즉, 이익을 보면 의리를 먼저 생각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도덕적 가치를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가르쳤습니다.
반대되는 의미의 사자성어로는 '견리사의(見利思義)'가 있습니다. 이는 '이익을 보면 먼저 의리를 생각한다'는 뜻으로, 도덕적 원칙을 중시하는 태도를 나타냅니다.
견리사의 (見利思義)
見 볼 견, 利 이로울 리, 思 생각할 사, 義 옳을 의
견리사의는 '이익을 보면 먼저 의리를 생각한다'는 뜻으로, 개인적인 이익보다 도덕적 원칙과 올바른 가치를 우선시하는 태도를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즉, 자신에게 이익이 되는 일이 있더라도 도덕과 신의를 먼저 고려해야 한다는 가르침을 담고 있습니다.
이 표현은 『논어(論語)』의 「헌문편(憲問篇)」에서 유래했습니다. 공자는 "견리사의(見利思義), 견위수명(見危授命)" 즉, 이익을 보면 의리를 생각하고, 위태로움을 보면 목숨을 바친다고 가르치며, 군자의 도리를 강조했습니다.
'고사, 유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초보은 結草報恩 뜻 유래 간단히 (0) | 2025.03.02 |
---|---|
견지망월 見指望月 뜻 유래 간단히 (0) | 2025.03.01 |
악전고투 惡戰苦鬪 뜻 유래 간단히 (0) | 2025.02.27 |
갈불음도천수 渴不飮盜泉水 뜻 유래 간단히 (0) | 2025.02.26 |
진인사대천명 盡人事待天命 뜻 유래 간단히 (0) | 2025.02.25 |